9월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 총 5천186건…15억원 초과 거래 비중 21.1% 차지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25-10-09 08:40:53
  • -
  • +
  • 인쇄
-전월의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 17.0%에 비해 4%포인트 이상 증가
-대출 규제 후 크게 늘었던 9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9월 들어 다시 감소
▲ 사진=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제공/연합뉴스]

 

서울지역의 15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가 9월 이후 다시 살아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총 5천186건(공공기관 매수·계약 해제 건 제외)으로 이 가운데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21.1%(1천70건)를 차지했다.

이는 전월의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17.0%)에 비해 4%포인트 이상 증가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 이후 거래량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상대적으로 고가 아파트의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다.

지난 6월 28.2%였던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7월에 24.1%로 줄었고, 8월에는 17.0%로 크게 감소했다.

그러다 9월 들어 다시 20%를 넘긴 것이다.

15억원 초과 중에서도 15억 초과∼30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19.4%를 차지하며 전월(14.6%)에 비해 5%포인트 가까이 증가했다.

9·7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추가 규제지역 지정 가능성이 커진 성동·마포구와 광진·동작구 등 비강남권 한강벨트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진 영향이다.

특히 성동·마포구에서는 지난달 전용 59㎡의 실거래가가 20억원을 돌파한 단지들이 속출했다.

9억∼15억원 이하 거래 비중도 6월 34.5%에서 7월에는 29.1%로 감소한 뒤 8월 32.2%에 이어 9월에는 36.3%로 늘었다.

이에 비해 강남3구 아파트가 집중된 30억원 초과∼50억원 이하 비중은 지난 9월 1.5%를 차지하며 전월(2.0%)보다 감소했다.

지난 6월 4.2%에 비해서는 두 달 연속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50억원 초과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도 지난 6월 0.94%였으나 8월에는 0.42%로 줄고, 9월에는 0.2%로 감소했다.

6·27 대출 규제로 토허구역으로 묶여 전세를 낀 매수가 불가능한 강남권 고가 아파트 거래는 직격탄을 맞은 대신 전세 낀 갭투자가 가능한 비강남 한강벨트 지역으로 매수세가 몰린 것이다.

중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커지면서 9억원 이하 중저가 비중은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지난 9월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6·27 대출 규제 이후 가장 낮은 42.6%를 기록했다.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거래량이 급증했던 지난 6월 37.3%에 그쳤으나 대출 규제 후 7월에는 46.7%로 늘고, 8월에는 50.7%로 절반을 넘겼었다.

시장에선 추석 이후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지난 9·7대책에서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50%에서 40%로 낮췄고, 국토부 장관도 공공사업이 없는 단일 행정구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 개정을 추진중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