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개성공단
[데일리매거진=소태영 기자] 정부가 대북강경책으로 개성공단 폐쇄 조치를 한 가운데 입주기업들의 줄도산 우려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22일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입주기업 123개 업체 중 120개 업체의 피해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고정자산 5688억원, 유동자산 2464억원 등 총 8152억원의 손해를 봤다고 밝혔다.
이들은 일부 상장사를 제외한 나머지 업체들은 개성공단에서 대부분의 물량을 생산해왔거나 생산시설 자체가 개성공단에 위치해 있어 피해가 크며, 이미 회복 불가능한 수준인 기업들이 상당수에 달한다고 전했다. 향후 기업들이 자산 매각을 통한 회복에도 심각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상장사들도 직접적인 타격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성공단에 비해 급증한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채산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쿠쿠전자의 경우 연간 생산물량의 10%에 해당하는 96여만대를 개성공단에서 생산해왔다.
쿠쿠전자는 그러나 개성공단 사태 이후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에서 요구하는 물량을 맞추기 위해 양산 공장과 인천 공장에 인력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 중이다. 아직 1분기 매출 실적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생산 차질로 매출에 영향을 줬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는 "정부가 일방적인 조치로 개성공단 사태를 이렇게까지 만들어 놓았다"며, "정부가 대책으로 내건 자산손실 규모 재무상태표에 미반영은 말그대로 탁상 공론적 행정 지원"이라고 지적했다.
이들 업체들은 개성공단 입주기업으로부터 대금을 지급받지 못해 연쇄 자금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이 이렇자 회계당국은 기업들의 도산 위기를 막고자 개성공단 기업이 가동 중단 사태로 입은 자산손실 규모를 재무상태표에 반영하지 않고 재무제표 주석에만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개성공단 폐쇄 사태로 인해 억류된 자산을 즉각 자산손실로 반영할 경우 개성공단에서의 생산비중이 높은 기업들이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거나 도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현실을 반영하지 않은 탁상공론에 불과하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개성공단에서 레포츠 용품 업체를 운영했던 기업 대표 A씨는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던 27명의 우리나라 직원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라며 "정부가 일방적인 조치로 개성공단 사태를 이렇게까지 만들어 놓은 것이 과연 합당한가"라고 분통을 터트렸다.
그는 "직원들 월급을 주지 못한다면 당장 일괄 사직서라도 받고 회사를 정리해야 한다"며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이 옳은 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기업 대표 B씨는 "협력사에 대금을 제때 입금하지 못해 협력사도 도산할 위기에 처했다"며 "자산손실 규모를 재무상태표에 반영하지 않으면 손실금액이 없는 것인가. 정부가 제대로 된 보상을 해줄 생각은 안하고 탁상 공론적 행정 지원을 하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사진=YTN 방송화면 캡처]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