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은 법인세와 소득세 개념 정립부터 다시 해라"
[데일리매거진=소태영 기자] 새누리당은 야당의 법인세 인상 요구에 대해 반대입장을 밝혔다.
12일 윤영석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원내 현안관련 브리핑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이 전일 법인세 원위치를 요구하고 나섰다"며 "지난 10일 문희상 비대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증세론을 덮으려 하는 모양새"라고 꼬집었다.
윤 원내대변인은 "부자증세 프레임으로 법인세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며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이 법인세를 부자증세로 치부하는 것은 현 경제상황과 맞지 않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또 "법인세는 소득세와 달리 상위 계층 만에 부과되는 세목이 아니라"며 "법인세를 올리면 기업은 비용축소와 상품가격조정, 투자자본 이동 등에 나서면서 조세 전가가 일어니고 그 부담은 근로자와 소비자등 국민 모두에게 옮겨간다"고 우려했다.
그는 "최근 5년 사이 독일은 법인세 최고세율을 26.4%에서 15.8%로, 캐나다는 22%에서 12%로 낮췄고 대만·싱가포르도 17%까지 내렸다"고 소개하고 이에 역주행하는 건 "새정치민주연합의 시대착오적 발상"이라고 말했다.
또 "2012년 기준으로 한국의 GDP대비 법인세수 비중은 4%로 OECD평균(2011년 기준)인 3%를 웃돌고, 미국(2.6%) 일본(3.4%) 스웨덴(3%) 등 주요국을 상회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3·4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43.5% 줄어든 4조600억원에 그쳤고, 현대중공업은 1조9천346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올해 기업실적이 반토막 나는 상황"이라며 "세금을 내기도 힘든 실정인데, 법인세를 올리면 투자와 일자리 축소에 따른 실적악화를 유발해 세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더 크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특히 그는 "한국경제는 지금 저성장 저물가 저금리의 3저 현상에 미국이 양적 완화를 종료하자마자 일본이 추가 양적 완화로 ′엔저′와 ′강달러′라는 샌드위치 부담을 안게 된 상황"이라며 "이러한 가운데 법인세까지 인상하면 자본유출과 기업의 해외이전이 가속화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