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는 이날 오전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 "허리냐 엉덩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위기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던 것이 나라로서는 큰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표는 또 박 대통령이 사과한 데 대해 "불통인사, 오기인사가 불러온 나라망신에 대해 사과가 필요했다"며 "특히 앞으로 인사는 이런이런 원칙으로 하겠다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김 대표는 국회 차원의 청문회를 개최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청와대가 제대로 작동해 국익에 도움이 되게 하려는 데에는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같이 고민할 수 있다. 그런 청문회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와대 자체가 노력을 기울여서 결과물을 제대로 내놓는다면 그러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 지금까지 상황을 보면 국회에서 그 문제를 다루는 것이 국익을 위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을 빨리 매듭짓고 경제민주화를 챙겨달라"면서 "갑을(甲乙) 관계가 국민적 관심사로 대두했다. 이를 풀기 위해서라도 경제민주화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민주당 혁신'에 대해선 "하루아침에 천지개벽하는 변화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라며 "차분하게 그러나 내용 있게 변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안으로는 정당민주주의를 실천하고, 밖으로는 국민이 먹고사는 문제, 생활밀착형 정책으로 국민생활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정책정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대선공약 가운데 여야가 입법을 합의한 83개 법안 중 지금까지 처리된 법안이 19개에 불과하다"며 "6월 임시국회를 '을(乙)을 위한 임시국회'로 이름 붙였고, 경제민주화 법안을 6월에 통과시키기 위해 5월부터 이 법안을 공부하고 내용을 보충하는 작업을 시작했다"고 했다.
한편, 10월 재보선에서 안철수 무소속 후보 측과의 연대에 대해선 "그렇게 쉽게 말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며 "기성 정치권, 특히 민주당이 어떻게 변화하느냐에 따라서 안철수 현상이 증폭될지 잦아질지 결정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어쨌든 그런 상황들이 다 종합적으로 검토돼 힘을 합치는 것이 좋은지 아닌지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