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국내기술 '중거리GPS유도키트' 개발…北 장사정포 타격가능

김정우 / 기사승인 : 2013-01-15 18:20:16
  • -
  • +
  • 인쇄
"산 뒤에 숨어 있는 표적 공격하는 선회 공격 능력 보유"

이미지 1.jpg
▲ '중거리GPS유도키트'관련 MBN 보도

[데일리매거진=김정우 기자] 전투기에서 투하된 폭탄이 스스로 적을 찾아 타격하게 해주는 유도 무기가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됐다.

지난 14일 방위사업청과 국방과학연구소(ADD)는 500파운드(225㎏)급 일반폭탄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장착해 원거리에서 지상표적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중거리GPS유도키트'를 국내 독자기술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전투기에 중거리GPS유도키트를 장착하면 주ㆍ야간 전천후 정밀 타격이 가능하고 산 너머의 적도 공격할 수 있다.

언덕이나 산 뒤에 은폐된 장사정포 등의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 이를 통해 북한 장사정포를 제압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중거리GPS유도키트'는 최대 사거리는 100㎞에 달하며 오차범위는 10m내외로 정확도도 높다. 1발의 가격은 1억원이다.

국방과학연구소 관계자는 "중거리GPS유도키트는 지면에 노출된 표적뿐만 아니라 산 뒤에 숨어 있는 표적도 공격하는 선회 공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게다가 F-4와 F-5 등 노후 전투기에 정밀공격 임무수행 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돼 공군전력 증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방사청 백윤형 대변인은 "현재 공군에서 운용하는 사거리 25㎞의 합동정밀직격탄(JDAM)에 비해 훨씬 먼 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정밀하게 공격할 수 있고 일반 유도무기에 비해 획득 비용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중거리GPS유도키트'는 4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고 지난해 말부터 전력화가 시작됐다.

국방과학연구소는 LIG넥스원 등 20여개 협력업체와 함께 지난 2007년 11월부터 체계개발에 착수해 F-15K와 KF-16, F-4, F-5, FA-50 등 공군이 운용 중인 5개 전투기 기종을 대상으로 장착적합성 및 공중투하 비행시험 등의 평가를 최근 완료했다.

방사청이 공개한 기종별 시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사거리 47~103㎞에서 오차범위는 0.4~8m다.

군 당국은 이번 중거리GPS유도키트 개발로 1500여억원의 수입대체 효과와 1400여 명의 고용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