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 전 실장은 이날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 "과거에도 새 임금이 나오면 옥문(獄門)을 열어준다고 하지 않느냐"며 "개인적으로 새 정부가 출범하고 (현정부가) 임기를 마감하는 교체기에 그런 대화합조치를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측면이 있지 않을까 한다"고 밝혔다.
임 전 실장은 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이명박 대통령이 아마 어떤 형태로든 의견을 주고받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현재 이 대통령의 측근으로 수감 생활을 하고 있는 인사는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전 의원, 대학 동기이자 절친한 친구인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등이 있다.
임 전 실장은 또 최근 정부 고위 관계자가 기자들과 만나 "우리 정부가 북한의 경제 지원 요구를 들어주지 않자 북한이 이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천안함 폭침·연평도 포격 도발을 했다"고 말한 것과 관련,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현정부 들어 회담이나 이산가족상봉에 대가를 주는 형식을 탈피하려고 했기 때문에 정부는 정상회담의 대가로 뭘 논의했던 게 아니고 처음부터 납북자나 이산가족상봉 등 인도적 조치를 하면 거기에 상응해 인도적 차원에서의 식량지원 등은 할 수 있다는 원칙을 가져갔다"고 말했다.
6일 새정부 인수위가 본격적으로 가동된 것과 관련해선 대통령직 인수위원들이 향후 박근혜 정부에 입각, 업무 연속성을 이어가야 한다는 뜻을 피력했다. 임 전 실장은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시절 비서실장을 맡았고 이후 고용노동부 장관, 대통령 실장을 역임한 바 있다.
그는 "(업무) 인수 받은 사람들이 다음 정부에 참여하지 않으면 이 사람들이 인수 받은 것을 또 인계해줘야 하는데 이는 맞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야권이 박근혜 후보 선대위 인사들의 인수위 합류를 '회전문 인사'라고 지적한 것에 대해선 "책임 있는 국정운영이라는 측면에서 그 비판을 이해할 수 없다"며 "국민들에게 약속하고 국정방향을 구상한 사람들이 인수위에 참여는 것은 당연하다"고 반박했다.
인수위 구성에 대해선 "정권재창출이다 보니 규모도 작고 안정감 있게 조용하고 차분하게 작업을 하려는 일 중심의 실무적인 인수위가 아닌가 한다"고 평했다.
박근혜 당선인의 비서실에 대해선 "비서실은 당선인이 해야 할 모든 역할을 무한하게 보좌하는 곳"이라며 "대통령이 되면 일거수 일투족이 비서실 보좌를 통해 나타난다는 점에서 비서실은 조용하면서도 당선인과 동일체의 인식을 갖고 활동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