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큰 이유로는 '글로벌 호크'의 엄청난 가격. 2015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따라 고고도 무인정찰기 운용이 불가피하지만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이 의회에 제시한 4기의 글로벌 호크와 부품, 교육훈련, 군수 지원 등을 포함한 가격이 12억달러(1조3000여억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 2009년 우리 방위사업청이 구매요청서(LOR)를 보낸 후 미 공군으로부터 받은 1세트(4대) 가격인 4억4200만달러(4500여억원)에 비해 2.7배나 비싸진 가격이다. 이에 26일 한 군 관계자는 "미국방부가 미의회에 판매승인요청서를 제출하면서 제시한 금액은 우리정부가 예상한 가격 4000여억원의 3배인 1조3000억원"이라며 "승인이 되더라도 협상이 어려울 전망"이라고 말했다. 미국 측은 한국 판매용 비행체 개조비와 성능개량비, 기술 현대화비 등이 늘고 개발비도 별도 신설해 가격이 상승했다는 논리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지난해 3월 '국방개혁 307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례적으로 글로벌호크라는 특정 기종을 거론하며 "2015년 이전에 반드시 도입해 전력화하겠다"며 강한 의지를 드러내며 올해 예산 4500억원을 배정했지만, 글로벌호크를 감당하기에는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 이러한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이게 왜 필요한데? 이거 없어도 잘 살고 있거든", "글로벌 호구", "이런 럭셔리 장비가 뭐가 필요해?", "글로벌 호구인 한국에 글로벌 호크를 바가지 씌워 팔았다", "파는넘이 팔고 싶으면 파는거야?", "이름자체가 딱 매치된다..", "처치곤란 구형모델 판매??", "차라리 첩보위성을 북한에 부탁해서 쏘아올려라", "한국은 미국의 봉?" 등의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한국구방연구원(KIDA)는 지난 10월 연구용역을 통해 "군이 ROC(작전요구성능)를 수정할 수 있으면 다른 기종도 도입할 수 있다"면서 "사업추진기본전략의 변경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 바가 있다. 또 미 국방부가 지난 2010년 10월부터 석 달간 평가한 결과 글로벌 호크 블록 30형은 작전임무의 40%밖에 수행하지 못했고 발전기 등 핵심부품의 고장이 16곳 발견돼 성능 지적도 잇따라고 있다. 미국의 글로벌호크는 노드롭 그루만사가 2000년에 개발한 고고도 무인정찰기로 동체길이 13.5m, 날개길이 35.4m로 비교적 큰 비행체다. 이 때문에 1500m이상의 긴 활주로가 필요하지만 15~20km의 고도에서 시속 635km의 속도로 2만 2200km까지 비행할 수 있다. 또 글로벌호크는 지상 20㎞ 상공에서 레이더(SAR)와 적외선탐지장비 등을 통해 지상 0.3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등 첩보위성 수준급 전략무기로 900kg의 탑재체를 싣고 32시간 이상을 비행할 수 있다.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