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후보가 이날 과거사에 대한 사과를 했지만 해소되지 않은 역사 문제는 남아있다. 박정희 정권이 빼앗아 갔다는 정수장학회사회환원 논란이 대표적이다.
이 문제는 현 최필립 이사장 등 이사진 퇴진이 핵심 쟁점인데, 박 후보는 최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논란이 계속되면서 장학회와 이사진의 순수한 취지마저 훼손되고 있다. 이사진이 잘 판단해줬으면 하는 게 개인적인 바람"이라고 밝혔다.
당시 박 후보의 발언은 최 이사장의 자진 사퇴를 간접적으로 요구한 것으로 해석됐는데, 최 이사장은 이에 대해 "그만둘 생각이 없음"을 밝혀 이 문제는 교착상태에 놓여있다.
일각에서는 박 후보가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내보여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재오 의원은 이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는 "정수장학회 문제를 말끔히 털어야 한다"며 "그렇지 않다면 5·16은 쿠데타이고 유신은 독재였고 '인혁당 사건'은 무죄였다는 객관적 사건을 이미 인정하고 있는 국민이 (박 후보의 사과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후보는 역사적 화해뿐만 아니라 유신시대 피해자들의 원통한 마음을 풀어주는 두 가지를 이뤄야 한다"고 했다.
고(故) 장준하 선생의 의문사 사건에 대한 박 후보의 입장 변화 여부도 관심사다.
이 문제가 처음 거론됐을 때, 민주통합당은 장 선생의 타살 가능성을 제시하며 사과를 촉구했지만 박 후보는 "그거는 (과거사) 진상조사위에서 현장 목격자까지 포함해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냐"며 일축했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이날 "오늘 (박 후보의) 기자회견 내용이 국민들에게 진정성 있게 보여주려면 말로서 그칠 것이 아니라 앞으로 이와 부합되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보여 주어야 할 것"이라며 "희생자 가족들에 대한 진심어린 사과와 이미 드러난 사실들, 즉 고 장준하 선생의 의문사 등에 대해서도 진상규명을 위한 재조사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당내로 시선을 돌리면 당장 선거대책위원회 구성 문제가 눈앞에 놓여있다. 박 후보가 재차 국민통합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다종 다양한 인사들이 선대위에 참여할 지, 친박계가 2선후퇴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선대위는 오는 29일 시작되는 추석연휴를 앞두고 출범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주류인 김용태 의원은 "(박 후보가) 과거사 인식 문제를 언급했으니 이제는 당내 문제에서 정몽준·이재오 의원, 김무성 전 의원 등의 문제에서 통큰 결단을 내려야할 때"라고 말했다.
친박계 이혜훈 최고위원은 "이번 선거는 소수의 몇 사람, 예를 들어 특정 계파만으로 선거를 치를 수 있는게 아니다"라며 "가치와 노선이 같다면 인간적 친소관계는 따지지 않고 모두 (선대위에) 모시는 게 좋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아무래도 많은 분들이 들어오려면 그들에게 자리를 내줘야 하는 일도 더러 생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