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공천위원 중 한 사람이었던 현기환 전 의원이 지난 3월, 부산지역의 공천신청자 현영희씨로부터 "비례대표 공처을 받도록 도와달라"며 3억원의 자금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공천위는 위원 인선 과정에서 지역과 계파간의 잡음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로 이상돈, 김종인 등 외부 인사들을 영입하는 한편, 당시 의원직을 상실했던 현 전 의원을 공천위원으로 앉혔으나 결국 공염불이 된 셈이다.
하지만 현 전 의원은 배포 자료에서 "난 19대 총선 공천과 관련해 어떤 부정행위도 하지 않았다. 지난 19대 국회의원 공천과정에서 뼈를 깎는 각오로 새누리당을 국민 눈높이에 맞추려고 노력했다"며 "개별 위원의 사적 이해가 들어갈 수 없도록 공천이 이뤄졌다는 건 그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밝힌 바 있다"고 반박했다.
현씨는 3월말 홍준표 전 당대표에게도 2천만원의 불법정치자금을 제공한 혐의와 정치자금 허위 회계보고, 자원봉사자들에 금품을 제공한 혐의도 함께 받고 있다.
현씨는 결국 새누리당 비례대표 공천을 받아 19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됐다.
중앙선관위는 이에 따라 지난 30일 현씨를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고 현 전 의원과 홍 전 대표, 홍 전 대표의 측근 조모씨를 수사의뢰했다.
새누리당은 이러한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유력 대권주자인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추진해 온 당 쇄신의 핵심이 `공천개혁'이었던 만큼 12월 대선정국에서 파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공천 의혹 제기를 통해 대선을 코앞에 두고 있는 새누리당에 타격을 주기 위한 게 아니냐는 해석도 들린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