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7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국회 비준동의안 문제와 관련해 "결론에 있어서는 (다른 야권과) 큰 차이가 없다"며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이사장은 이날 낮 서울 영등포구 여의동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오찬간담회를 갖고 "한미 FTA는 참여정부 사람으로서 난처한 문제인데, 결론만 놓고 보자면 현재와 같은 비준에 대해선 반대"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현 정부의 한·미 FTA가 자동차분야 등에 있어서 참여정부 당시보다 훨씬 많은 양보가 이뤄졌다는 점을 들어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미국이) 한·미 FTA 이행법률을 연방법과 주법보다 하위에 두는 불평등성 등에 대해 정확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투자자 국가소송제도(ISD) 등이 독소조항으로 거론되는 것과 관련, "참여정부 때에도 검토가 됐지만 그때도 쟁점이었다"며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검토했는데 그때도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미 FTA에 대한 야권 내부의 시각차에 대해 "결론부분에 동의한다면 통합에 장애가 될 부분은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문 이사장은 자신이 참여하고 있는 '혁신과통합'이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통합정당 참여를 촉구한 것과 관련, 안 원장이 이미 한나라당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한 점 등을 들어 "대선에서도 똑같은 입장이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혼자서 그런 일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함께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안 원장의 참여시기에 대해선 "4월 총선 이전이면 바람직 할 것"이라며 "(그래야) 유리한 고지에 올라설 수 있으니까 가능하면 함께 그 힘으로 총선을 치르기 바라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문 이사장은 안 원장에 대해 "안 원장이 개인적으로 받고 있는 지지도가 아주 소중하다"며 "약간의 행보로도 이 정도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은 엄청난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지금의 지지도가 유지된다면 우리(야권) 쪽의 대표선수가 될 수도 있다. 그것을 인정하고, 우리도 도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원장과 통합논의를 할 수 있는 창구에 대해선 "함께 할 수 있는 친구는 많다. 친구의 친구도 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아울러 문 이사장은 현 야권통합이 지분나누기가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혁신과 통합은 지분문제에 아무 관심이 없다"며 "공천은 지분으로 정할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