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박대웅 기자]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나설 야권 단일후보로 박원순 변호사가 선출됐다. 박원순 변호사는 3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국민참여 경선에서 민주당 박영선 후보에 근소한 차이로 밀렸지만 배심원단 투표와 여론조사에서 앞서 승리를 거뒀다.
이는 박 변호사 개인의 승리이기도 하지만 기존 정치권에 대한 불신, 새로운 정치세력의 등장을 바라는 바람이 투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정치권, 특히 제1야당 민주당은 박 변호사와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가 맞붙을 서울시장 선거 결과를 떠나 심각한 자성과 환골탈태의 쇄신을 해야 한다.
이날 30ㆍ40대 직장인과 대학생, 젊은 커플들이 박 변호사와 인증샷을 찍으려고 몰려드는 바람에 박영선 후보와 민노당 최규엽 후보 앞이 텅 비는 상황이 몇 차례 생긴 데서 정당정치의 위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당초 여론조사나 배심원단 투표에서 민주당이 밀리더라도 국민참여 경선에서는 조직력을 발휘, 뒤집기를 할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전체 판세를 바꿀 정도는 아니었다. 민주당만큼이나 시민단체의 투표 독려도 적극적이었고, 시민사회운동의 명망가들이 대거 박 변호사를 지원했다. 정
당의 조직력이 월등하던 시절은 이제 갔다. 오히려 시민단체의 응집력이 간단치 않다는 사실은 내년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의 양태도 과거와는 상당히 다를 것이라는 예측을 낳고 있다.
쇄신과 변화의 바람을 타고 야권 단일후보가 된 박 변호사는 그 상징적 의미만큼 무거운 과제를 안게 됐다. 과거 시민운동가 위치에서는 정부나 정치권에 대해 비판자적 입장을 취하면 됐다.
그러나 이제는 1000만 시민의 삶과 수도 서울의 미래, 나아가 한국 정치의 방향에 큰 영향을 줄 수도 있는 위치에 선 만큼 말과 행동에 책임이 따라야 한다. 무엇보다 논란이 되고 있는 아름다운 재단의 대기업 기부금 모금과 배분 내역 등을 명쾌하게 설명해야 한다.
한강보 철거여부와 양화대교 개조공사 등 서울시의 기존 사업에 대해서도 보다 신중한 검토와 판단이 있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