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박대웅 기자] 서울시장 선거가 꼭 30일 앞으로 다가왔다. 민주당은 25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 경선에서 재선의 박영선 의원을 후보로 선출, 서울시장 레이스가 본격 가동되었음을 알렸다. 대한민국 수도이자 1000만 명이 사는 서울시는 국방을 제외한 '작은 대한민국'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중심지이다. 때문에 서울시장 선거는 단순한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가 아닌 국가지도자를 뽑는 중요한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이번 보궐선거는 내년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앞두고 벌어지는 전초전의 성격이 강하다. 최근 정치권을 강타한 '안철수 돌풍'으로 인해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제도권 정당은 물론 시민사회세력까지 선거전에 나서며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한 마디로 그 어느 때보다 정치적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민주당은 자신들이 선택한 박영선 후보로 끝까지 레이스를 펼칠지 불확실하다. 진보적 시민사회세력을 대표하는 박원순 변호사와 다음달 4일 야권 후보 통합경선을 치러야 하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역시 마찬가지다. 오는 28~29일 양일간 여론조사를 실시한다고 하지만 야당에 박원순이 있다면 여당에 이석연 변호사가 버티고 있어서다. 여야를 막론하고 선거전이 본격화되면 후보단일화 여부가 선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여당은 이 변호사를 필두로한 보수진영의 분열을, 야당은 박 변호사를 주축으로한 시민사회세력의 득세를 걱정해야하는 형국이다.
이번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그간 정당중심으로 이뤄지던 선거판의 구도가 흔들림은 물론 내년 총선과 대선의 정치적 연장선이라는 무게감 때문에 1000만 서울시민을 위한 정책보다 정치가 넘쳐나고 있다. 보선을 초래한 무상급식 논쟁도 대선과 총선에서 '보편적 복지논쟁'으로 확대될 것이며,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추진했던 한강 르네상스 사업 등도 '토목이냐, 복지냐'의 정치 논쟁으로 번질 것이다.
'작은 대한민국' 서울의 중요도를 감안했을 때 이같은 전국적 이슈의 논쟁이 불가피하지만, 정작 '서울시민 1000만' 정치보다 정책으로 서울시민의 삶에 도움이 되는 '서울만의 서울시장'을 원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