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오는 24일 서울시의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앞두고 여야 간 투표율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야권이 투표 불참 운동을 벌이는 상황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12일 대선 불출마 선언은 주민투표 성패의 관건인 유효 투표율 33.3%를 넘기기 위한 승부수다. 33.3% 투표율을 못 넘기면 투표함 개봉도 못 한 채 무효가 되고, 민주당과의 '무상복지' 찬반 대결에서 한나라당이 사실상 패하게 된다.
오 시장의 대선 불출마는 친박(親朴)을 향한 지원요청의 성격이 짙다. 오 시장이 주민투표를 내년 대선 출마를 위한 도약대로 활용하려 한다는 친박 진영의 의심을 해소해 주려는 것이다. 한나라당은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고, 친이(親李)계가 결집하면서 여권 지지층의 투표참여가 늘어날 조짐도 보인다. 오 시장의 불출마 선언이 화제와 논란을 일으키는 '노이즈 마케팅'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오 시장은 투표일 직전 주민투표 성패에 시장직을 거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이 카드는 서울 지역 현역 의원과 당협위원장들에겐 상당한 압박이 될 가능성이 크다. 투표율 부족으로 오 시장이 사퇴한 뒤 10월 보궐선거에서 야당 후보가 당선되면 내년 총선에서 서울지역은 한나라당 의원들에게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서울 의원들은 오 시장이 시장직을 걸지 않도록 지원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친박·소장파 의원들의 소극적 태도다. 한 친박 의원은 "불출마 선언이 우리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고 했다. 더구나 투표율을 채우려면 서울 유권자 838만9406명(잠정치) 중 279만6469명이 투표해야 한다. 작년 지방선거에서 오 시장을 찍은 사람(208만명·유권자의 약 25%)이 다 투표한다 해도 70만명이 더 필요하다. 야당의 투표불참 운동은 한층 거세질 것이다. 미디어리서치 김지연 상무는 "투표로 개인의 정치성향이 드러나는 구조가 되면서 (보수로) 낙인 찍히기를 꺼리는 중도 성향 20~40대가 투표장 가는 것을 기피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