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천선희 기자] 충북 보은군 마로면 상장리의 한우농가의 소가 전국에서 6번째로 구제역에 감염된 것으로 확진됐으나 이 농장의 항체 형성률 역시 법적 기준치를 웃도는 것으로 확인돼 '물백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앞서 지난 5일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의 젖소농가에서 국내 첫 구제역이 발생한 후 지금까지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는 보은 4곳, 전국적으로는 6곳으로 늘게 됐다.
충북도는 12일 의심증상을 보인 이 농장의 소 3마리의 시료를 채취, 도 축산위생연구소에서 구제역 감염 여부를 검사한 결과 양성으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충북도는 이날 보은군의 3㎞ 방역대 내의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시료검사를 하던 도중 171마리의 한우를 키우는 이 농장에서 의심증상을 보이는 소 3마리를 확인했다. 2마리에는 수포가 생겼고 1마리는 침 흘림 증상을 보였다.
이 농장의 항체 형성률은 법적 항체 기준치(80%)를 웃도는 81%이다. 지난 8일 A형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난 경기 연천 젖소 항체율이 90%, 지난 11일 구제역이 발생한 보은군 마로면 송현리의 한우농가가 87.5%, 또 다른 보은 농장의 항체율은 100%였다는 점에서 백신 효능 논란이 번지고 있다.
한 축산단체 관계자는“구제역이 발생할 때마다 백신 효능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지만 그때마다 방역당국은 농가의 잘못으로 몰고갔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해 기존 백신이 얼마만큼의 방어력을 갖고 있는지 정확한 수치를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북도는 이 농장의 다른 소도 예방적 살처분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항체율이 높게 나오자 의심증상을 보인 소만 살처분했다.
도 관계자는 "수포나 침 흘림 등 의심증상이 추가로 발견된다면 전량 살처분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는 13일까지 전국 소 330만 마리 중 접종 후 4주가 지나지 않았거나 2주 이내 출하 예정인 소를 제외한 283만 마리를 대상으로 긴급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