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사진=청와대]
[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국회의 2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처리가 사실상 무산됐다. 이에 따라 탄핵소추안 표결은 오는 9일 진행될 전망이다.
당초 야3당과 새누리당 비박계 의원들은 빠르면 2일 본회의에서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을 발의할 계획이었지만 박 대통령의 3차 담화 이후 탄핵안 추진을 두고 야당과 비박계,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이견을 보이면서 끝내 2일 탄핵안 처리가 사실상 어렵게 됐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추 대표가 오늘 탄핵안을 (국회 본회의에) 제출하자고 했는데 제가 거절을 했다"며 "탄핵안을 발의하면 가결이 어느 정도 담보가 돼야지 부결이 될 것을 뻔히 알면서 발의를 하면 결과적으로 박 대통령에게 면죄부를 주고 국민만 혼란스러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용호 국민의당 원내대변인도 "비박들은 적어도 오는 7일까지 협상하고 안 되면 9일에 탄핵하자는 입장"이라며 "안 될 게 뻔한데 탄핵안을 표결하면 박 대통령에게 면죄부를 주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도 이날 오전 추미애 민주당 대표와의 긴급 회동을 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하고 이견만을 확인했다.
김 전 대표는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여야 협상이 안 될 경우 9일 탄핵 추진에 동참하느냐'는 질문에는 "가장 좋은 것은 여야 합의로 4월 30일로 박 대통령의 퇴임 시기를 못 박자는 것인데 만약 여야 합의가 안 되면 새누리당 의총에서 4월 30일에 퇴임하는 것으로 결의, 의결을 해서 대통령의 답을 듣자"고 강조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노림수가 통할 것이란 예측이 정가에서 흘러나온 상황에서 야당공조와 비박계의 정치적인 셈법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정치적 상황과 법적 한계를 직시하지 않는 민심과의 괴리의 속도는 빨라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