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부동산

Search: 948건

thumbimg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가격, 3.3㎡당 1천653만원…6개월 연속 상승
이재만 기자 2023.09.16
전국 민간 아파트의 ㎡당 분양가는 전달보다 1.69% 오른 501만원으로 지난 3월 이후 6개월 연속 상승했다.15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8월 말 기준 '민간아파트 분양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민간아파트의 ㎡당 평균 ...

thumbimg

SK텔레콤, 건설기계로 발생하는 안전사고·통신피해 예방한다
안정미 기자 2023.09.14
SK텔레콤은 건설기계로 인한 통신·가스·전력 시설 안전사고 및 시설물 피해 예방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SKT타워에서 열린 이번 협약에는 SKT를 비롯해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전력공 ...

thumbimg

저가의 연립·다세대…주택전세보증금 보호 받지 못할 위험 커
이재만 기자 2023.09.13
저가의 연립·다세대 주택일수록 전세보증금이 반환되지 않을 위험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2일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제도 개선방안'에서 이렇게 주장했다.KDI 연구위원은 지난해 전월세 실거래와 공시가격을 ...

thumbimg

전국 아파트 입주율 전월 대비 2% 이상↑…비수도권 입주율 큰 폭 상승
이재만 기자 2023.09.12
지난달 전국의 아파트 입주율이 전월 대비 2% 이상 상승했다.12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지난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71.5%로 전월 대비 2.8%포인트 올랐다.수도권은 82.0%에서 81.1%로 0.9%포인트 하락했 ...

thumbimg

올해 상반기 아파트 매매량…작년 하반기 대비 77% 증가
정민수 기자 2023.09.08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량이 작년 하반기 대비 7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8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상반기 아파트 매매량은 20만3천437건으로 작년 하반기(11만4천447건)보다 8만8천990건 증가했다.특히 수도권에서의 ...

thumbimg

전국 전세가격, 7주 연속 상승세…서울 전세가격 0.17% 올라
송하훈 기자 2023.09.07
전국 전세가격은 7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 중이며, 상승 폭도 매주 꾸준히 커지고 있다.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첫째 주(지난 4일 기준)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동향을 보면 전국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07% 상승했으며, 전세가 ...

thumbimg

GS건설, 인천 검단 붕괴 사고로…10개월의 영업정지 처분 받을 위기
이재만 기자 2023.08.28
GS건설이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로 최장 10개월의 영업정지 처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GS건설은 27일 국토교통부의 영업정지 10개월 행정처분 추진 계획 발표 후 "대기업으로서 사회적 기대와 책임에 부응하지 못한 점 다 ...

thumbimg

9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작년 동기 대비 27% 감소
정민수 기자 2023.08.24
전국의 아파트 입주 물량이 작년보다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23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인 부동산R114에 따르면 9월의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2만4천986가구로, 작년 동기(3만4천97가구) 대비 27% 감소했다.특히 수도권은 8천 ...

thumbimg

삼성물산, '래미안, The Next' 발표회서 새로운 주거 패러다임 제안…맞춤과 확장
안정미 기자 2023.08.23
국내 주거문화 혁신을 이끌어온 삼성물산이 다시 한번 기존의 틀을 넘어선 새로운 주거 패러다임을 제시했다.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은 23일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주택문화관 래미안갤러리에서 ‘래미안, The Next’를 주제로 ...

thumbimg

경실련, LH 인천검단 붕괴사고 관련 10대 제도개선안 제시
이재만 기자 2023.08.23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3일 올해 4월 검단신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와 관련 10대 제도개선안을 제시했다.경실련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LH 인천검단 붕괴사고는 설계·감리·시공사의 ...

thumbimg

HUG에서 관리하고 있는 악성임대인의 대위변제액…1조 3천81억원
이정우 기자 2023.08.23
지난 3월 본회의를 통과한 '악성임대인 공개법' 시행을 한달 여 앞두고 있는 가운데, 주택도시보증공사(이하 HUG)에서 관리하고 있는 집중관리 다주택채무자(악성임대인)의 대위변제액 총액이 1조 3천8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thumbimg

전국 주택 매매가격, 14개월 만에 상승 전환…전월 대비 0.03% 상승
이재만 기자 2023.08.17
7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14개월 만에 상승 전환하며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은 상승 폭이 확대됐다.지방도 낙폭을 줄였다.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7월 전국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가격은 전월 대비 0.03% 상승했다. ...

thumbimg

무량판 구조 아파트 안전점검에서 누락된 단지 발견…LH,신뢰성 자체 흔들려
이재만 기자 2023.08.10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하주차장 무량판 구조 아파트 안전점검 결과를 발표한 지 열흘 만에 점검에서 누락된 단지가 발견되면서 점검의 신뢰성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9일 보도했다.LH는 발주한 아파트 중 지하주차장에 무량판 ...

thumbimg

건설기계안전관리원, 태풍 등 재해지역 긴급투입 장비 안전지원 총력
정민수 기자 2023.08.09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이하 안전관리원)은 오는 10일부터 9월까지 태풍 등 자연재해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 긴급 투입되는 건설기계를 대상으로 안전점검과 검사연장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안전관리원은 10일 경 제6호 태풍 카눈이 ...

thumbimg

서울 소형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 격차…2년 만에 최소 기록
정민수 기자 2023.08.07
서울 아파트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의 매매와 전세가격 격차가 2년 만에 최소를 기록했다.6일 부동산R114 시세 통계를 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평균가는 12억9천354만원, 전셋값 평균은 6억344만원으로 매매-전셋값 격차 ...

thumbimg

LH, 철근 누락 15개 공공아파트 단지 관련 업체들 경찰 수사 의뢰
이재만 기자 2023.08.05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철근 누락이 드러난 15개 공공아파트 단지 관련 업체들을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LH는 4일 오후 서대문구 경찰청을 찾아 무량판 구조 부실 시공이 확인된 15개 아파트 단지의 설계, 시공, 감리와 관련된 74개 ...

thumbimg

삼성물산, 동대문 '래미안 라그란데' 입주자 모집…분양가는 3.3㎡당 평균 3285만원 선
송하훈 기자 2023.08.04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1구역을 재개발하는 ‘래미안 라그란데’ 입주자 모집공고를 4일 래미안 홈페이지에 등록하고 본격적인 분양 일정에 돌입했다. 래미안 라그란데는 동대문구 이문동 257-42번지 일대를 지하 5층~ ...

thumbimg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전주보다 0.03% 상승…3주 연속 상승세
이재만 기자 2023.08.04
전국의 아파트가격이 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다섯째주(7월 31일 기준)의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03% 상승했다.같은 달 셋째 주에 0.02% 오르며 1년 6개월 만에 상승 전환 ...

thumbimg

올해 시공능력평가 결과…삼성물산이 20조 7천296억원으로 1위
정민수 기자 2023.08.02
2023년도 토목건축공사업체 시공능력평가 결과는 전년과 동일하게 삼성물산이 20조 7천296억원으로 1위, 현대건설이 14조 9천791억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또, 대우건설이 9조 7천683억원으로 전년 6위에서 3위로 상승했다.국 ...

thumbimg

정부, LH 발주 아파트 전수 조사 결과…15개 단지에서 철근이 빠진 아파트 무더기로 확인
이재만 기자 2023.07.31
정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발주 아파트를 전수 조사한 결과 15개 단지에서 있어야 할 철근이 빠진 아파트 단지가 무더기로 확인됐다.국토교통부는 30일 오후 LH 서울지역본부에서 원희룡 장관 주재로 '공공주택 긴급안전점검 회의'를 ...

주요기사

+

PHOTO NEWS

정치

+

경제

+

사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