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지도체제 혁신안…막판 고심

이상은 / 기사승인 : 2017-07-26 14:36:14
  • -
  • +
  • 인쇄
"단일지도체제 담은 혁신안 제출, 그다음은 혁신위 권한 밖이다"

국민의당.JPG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지도체제 전환 여부를 놓고 국민의당이 막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당 혁신위원회가 제안한 단일지도체제 혁신안을 두고 지도부의 이견이 여전해 실질적인 권한이 없는 혁신위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혁신위가 단일지도체제 전환·최고위원제 폐지 등 고강도 혁신안 승부수를 띄운 것은 지난 17일이었으나 실제 통과까지는 쉽지 않아 보인다. 지도부 대행인 비대위 내부에서 반발의 의견이 적잖은 가운데 추경 등 산적한 현안에 밀려 제대로 된 의견 조율은 지난 20일에야 시작됐다.


그러나 20일 논의된 의총에서도 2시간 이상 토론을 벌였으나 결론을 내는 데는 실패했다. 이날 의총에서 지도부를 포함한 현역 의원들은 혁신위가 제시한 '최고위 폐지'에는 난색을 표했다. 대신 최고위원을 대표와 분리선출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라는 절충안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협의는 그 이후로도 계속됐지만 입장차는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혁신위 혁신안은 지도부의 책임성과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서 집행 권한을 강화하자는 취지인데, 그렇다고 해서 현재 지도체제가 책임성과 반응성이 떨어진다는 논거가 충분치 않다는 것이 비대위원들의 시각이다.


따라서 혁신위의 원안이 그대로 통과되기보다는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하는 절충안이 유력해지는 것이 비대위의 중론이다. 손금주 수석대변인은 25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혁신위의 입장도 우리가 이해는 하지만 그것을 현실 정치에, 또 우리 당 상황에 맞춰서 적용해야 한다"며 절충안으로 결정돼가는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이에 대해 혁신위는 한계를 인정하며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는 모양새다. 김태일 혁신위원장은 "단일지도체제를 담은 혁신안을 제출했고 그다음은 혁신위 권한 밖이다"라면서 "혁신안이 그대로 관철되지는 않는다고 하더라도 혁신위가 전달하고자 하는 강력한 지도체제를 통한 혁신 의지, 취지는 충분히 전달이 됐고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어 제도적으로 강제할 권한이 없는 혁신위가 당의 혁신을 이끌어 갈 수 있는 현실적인 수단은 끊임없는 설득과 대화일 뿐이라며 "제보조작 사건과 관련해 안철수 전 대표의 빠른 사과 등을 요구하며 쓴소리를 했던 것 역시 같은 이유"라고 밝혔다.


사실 그동안 혁신위 활동에 있어 의문의 목소리가 가시지 않아 왔던 것도 사실이다. 실질적 권한이 주어지지 않은 탓에 그저 '참고용' 혹은 '보여주기용'으로 전락하고 그치는 게 아니냐는 따가운 시선이다.


한 혁신위 관계자는 "핵심은 비대위가 힘이 없다는 것"이라며 "비대위가 힘을 실어줘야 혁신위가 일을 하는 데에 힘이 실리는데, 전대가 연기된다거나 의원들이 나서서 '이렇게는 안되겠다'고 한다거나 하는 내부의 변화가 있어야지 혁신위 자체적으로 뭘 하긴 힘들다"고 털어놨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