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지형 전 대법관 [출처=국무조정실]
[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에 김지형(59) 전 대법관이 선정됐다.
국무조정실은 이날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에 김 전 대법관(현 법무법인 지평 대표변호사)을 선정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공론화위 위원에는 인문사회 분야에서 김정인(39) 수원대 법행정학과 조교수·류방란(58) 한국교육개발연구원 부원장, 과학기술 분야에서 유태경(38) 경희대 화공학과 부교수·이성재(38) 고등과학원 교수, 조사통계 분야에서 김영원(58) 숙명여대 통계학과 교수·이윤석 서울시립대(48) 도시사회학과 교수, 갈등관리 분야에서 김원동(58)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이희진(48) 한국갈등해결센터 사무총장를 선정했다.
이날 발표된 명단을 보면 8명의 위원 가운데 3명이 여성이다. 20대는 없고, 30대 후반 3명이 포함됐다.
류방란 한국교육개발연구원 부원장과 이희진 한국갈등해결센터 사무총장을 제외한 나머지 6명은 교수로 일하고 있다.
공론화위 위원장과 위원들은 이날 오후 4시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위촉장을 받자마자 첫 회의를 열어 석 달간의 활동을 시작한다.
공론화위는 5·6호기 건설에 관한 공론화 작업의 설계·관리를 맡으며 공론화위가 선정한 시민배심원단이 공사를 영구 중단할지, 아니면 재개할지 10월 중순까지 결정하게 된다. 이날부터 90일째 되는 날은 10월21일 토요일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에서 신규 원전건설 전면중단과 건설계획 백지화, 신고리 5·6호기 공사중단, 월성 1호기 폐쇄, 탈핵에너지 전환 로드맵 수립 등을 공약했다.
한편 정부는 신고리 5·6호기 건설에 이미 1조 6천억원의 공사비가 집행됐고, 배심원단 결정에 따라 영구 중단이 이뤄질 경우 공사비와 보상비용까지 합해 모두 2조6천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