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최종구 신임 금융위원장 [출처/다음인물]
[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최종구 신임 금융위원장은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위험요인인 가계 부채는 '안정적인 부채 관리'와 '가계소득 개선' 을 통해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생산적 금융’을 ‘보다 생산적인 분야로 자금이 흘러가도록 해서 성장과 일자리에 기여하는 금융’으로 규정했다. 부채 확대로 단기적 호황을 유도하는 ‘소비적 금융’에 대응하는 표현이다. 그는 “소비적 금융은 더 이상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생산적 금융을 위해 “정책금융부터 일자리 중심의 금융지원 체계로 개편하고 민간은행 등으로 점차 확산해 나가도록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벤처 등 혁신기업이 충분한 자금 지원을 받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는 뜻이다.
이밖에 “창업단계별 필요한 자금을 적극 지원하고, 핀테크 등 혁신적인 금융서비스 출시를 통해 금융업 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정책 방향도 밝혔다.
그는 “우리 경제의 생산적 가치를 증대시키지 못한다면 금융의 사회적 가치는 퇴색된다”면서 “우리가 만든 모든 금융정책이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높일 수 있는지, 일자리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지 항상 자문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위원장은 또 부채를 늘려 단기적인 호황을 유도하는 금융은 더이상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세 가지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생산적 금융이라며, 보다 생산적인 분야로 자금이 흘러가도록 해 성장 잠재력과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는 금융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중소, 벤처 등 혁신 기업이 보유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충분한 자금을 원활히 지원받을 수 있도록 금융시스템을 개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정책금융부터 일자리 중심의 금융지원 체계로 개편하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금융시장이 역동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진입장벽은 낮추고 자율성은 최대한 보장하되 금융사고나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경우 그 책임을 엄중히 물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