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2030년 전력수요가 기존 전망보다 약 11.3GW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 전망대로라면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본격화되더라도 전력대란이 일어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
전력거래소는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관련 수요전망 워킹그룹 회의를 열고 국가 장기전력수요전망 초안을 발표했다.
워킹그룹은 8차 계획에서 7차와 동일한 전력패널모형 및 거시모형을 사용한 결과 2030년 수요가 7차 계획대비 약 11.3GW(113.2GW→101.9GW) 감소되는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7차와 마찬가지로 전력 수요관리 목표치 12%를 가정해 반영한 수치다.
이번 수요 전망치가 대폭 감소한 주요 이유는 수요 예측의 70%를 차지하는 경제성장률 전망치 변화 때문이다. 7차의 경우 GDP가 연평균 3.06%(구계열 3.4%) 성장할 것으로 봤지만 이번 8차 계획에서는 2.5% 성장률을 반영했다. 이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3월 분석 발표한 결과를 적용했다.
7차 계획의 수요 전망도 6차 대비 0.3%포인트 가량 떨어진 적이 있지만 이렇게 급격한 감소는 처음이다.
김창식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3%대 중반 고도성장기의 전력수요와 2.5%의 경제 선진화된 시기의 전력 소비 패턴은 굉장히 다르다"며 "미국의 경우 GDP가 증가하더라도 전력 수요는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누가 생각해도 7차 계획 때 (수요의 전제가 되는) GDP(2015~2029년 평균 성장률 3.4%)가 너무 높은 것이 아닌가 했었다"며 "8차에선 수치가 현실적으로 반영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워킹그룹은 수요예측 모형을 공개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7월 26일 신재생·전기학회 주관으로 전문가를 초청해 세미나를 개최하고, 향후 수요소위를 통해 추가적인 논의를 지속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