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픽사베이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한·중 관계에 변화의 기류가 모색되면서, 국내 항공업계도 중국인 관광객들을 맞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국내 항공사들이 중국의 금한령 조치가 공식적으로 해제될 경우를 대비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심지어 몇몇 항공사들은 7월 여행 성수기 시즌에 맞춰 현재 운항하고 있는 항공기보다 탑승객을 많이 수용할 수 있는 기종을 배치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3일 항공업계는 "중국 당국이 지난해 말부터 국내 항공사들을 대상으로 정기편을 제외한 부정기편에 대한 운항 조치를 불허하면서 적지 않은 타격을 받아왔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중국 당국은 아시아나 항공을 비롯한 3개 항공사가 올해 1월부터 부정기편 운영을 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 불승인 통보를 내렸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도 국내 항공사들이 3월 부정기편을 운영할 수 있도록 허가해달라는 신청에 대해서도 승인하지 않았다. 중국 당국은 불승인 이유에 대해서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이로 인해 국내 항공사들은 중국 노선을 포기하고 일본·동남아 등으로 노선을 다변화할 수밖에 없었고, 대부분의 부정기편 노선 역시 6월까지 일본과 동남아에 집중돼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새 정부가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 정부와의 갈등을 풀어내려는 행보를 보이면서, 대응책을 마련하기 시작한 것이다.
현재 대한항공의 경우 28개 중국 도시로 향하는 38개의 노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시아나 항공의 경우는 32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금한령으로 인해 한국을 찾아오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급감하자 두 항공사는 중국행 노선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거나, 기종을 바꾸는 등의 방향으로 대처해왔다.
일단 대한항공 측은 중국의 금한령 해제 움직임을 예의주시 한 뒤, 6월 이후에 중국으로 향하는 부정기 노선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아시아나항공 역시 오는 7월 1일부터 중국행 일부 노선에 한해 A321 기종(171명 수용)에서 A333(290명 수용), B767(290명 수용) 기종으로 변경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저가항공사들에서도 포착됐다. 중국 정부가 부정기편에 대한 운항 허가를 내줄 경우 저가항공사들 역시도 일본·동남아로 편성했던 노선을 바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항공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조치를 예의주시하며 다가오는 성수기를 맞아 추후 중국 수요에 대비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는 중" 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항공업계는 중국 정부가 금한령을 풀고 부정기편 운항을 허가해줄 경우 매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