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청와대
[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지난 주말부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랜섬웨어(Ransomware)'와 관련해, 청와대는 15일 “국가안보실은 초동 대응 및 피해확산 방지를 위해 여러 가지 조치와 지시를 내리고 있다”고 밝혔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운영체제의 문제점을 악용한 랜섬웨어 감염 피해가 전 세계로 확산 중"이라며 이와 같이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확인된 국내 피해규모는 9건이나 오늘부터 확산이 우려됨에 따라 피해차단을 위한 철저한 대응조치가 필요하다"면서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초동대응 및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여러 가지 조치와 지시를 내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램섬웨어 샘플 48종을 확보해 초동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의·권고·보안공지 및 국내 주요기업정보보호 최고 책임자 대상 메일을 발송하고 관련 보도자료를 배포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악성코드 및 피해 확산에 대한 종합분석을 했고 대국민 행동 요령을 어제 배포했다”며 “대국민 행동 요령으로는 통신만 차단 후 컴퓨터 켜기, SMB(Server Msessage Block) 프로토콜 비활성화, 통신망 연결 후 운영체제 보안 및 백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 사이버위기경보를 어제 6시부로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했다"며 "이와 함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방화벽 보안강화 조치를 취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랜섬웨어는 악성코드의 일종으로, 이에 감염된 컴퓨터는 내부 문서나 그림파일 등을 암호화 해 열지 못하도록 만든 후 돈을 보내주면 해독용 프로그램을 전송해 준다며 금품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을 말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