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3분기 상장기업 경영분석'에 따르면 3분기 매출액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3.2% 감소해 2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 분기에는 마이너스 0.1% 성장을 보였다.
이 조사는 공시를 상장하는 상장기업 1519개와 각 업종을 대표하는 주요 비상장기업 151개를 대상으로 올 3분기 재무제표를 분석한 것이다. 단, 금융·보험업 및 공정위 지주회사는 제외했다. 매출기준으로 중소기업은 3% 정도여서 주로 대기업동향을 분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한은은 3분기 중 조사대상기업의 안정성은 개선됐지만 성장성 및 수익성은 저하됐다고 분석했다.
3분기 국내상장기업의 매출액은 전년동기에 비해 3.2% 감소했다. 총자산은 전분기말대비 0.6% 증가했다.
매출액은 환율하락의 영향을 받아 제조업을 중심으로 낮아졌다. 특히 수출업체 위주로 원화환산이 악화됐다.
업종별로 보면 전기·전자(-9.6→-13.7%), 석유·화학(-0.4→-4.9%), 목재·종이(-7.3→-7.6%)업종의 매출액은 감소세가 확대됐다. 전기업종의 경우 스마트폰의 판매 부진이 큰 영향을 차지했으며, 석유·화학은 유가하락에 따라 석유제품의 가격이 하락하며 매출액이 감소했다.
박성빈 한은 기업통계팀 과장은 "제조업 매출액 감소는 환율이 하락하다보니까 원화환산 매출액이 안 좋아졌고, 그 중 전자전기 업종은 스마트폰 부진, 석유화학은 유가 하락하면서 제품가가 낮아져 매출액이 줄었다"고 밝혔다.
박 과장은 "조선업종은 전년에 마이너스 폭이 컸던 것에 대한 기저효과가 작용해 상대적으로 성장한 것처럼 보인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재무제표를 작성, 공시하는 상장기업(1519개)과 각 업종을 대표하는 주요 비상장기업(151개)(금융·보험업 및 공정위 지주회사 제외)를 대상으로 금융감독원 공시자료(DART)를 이용해 이뤄졌다. [사진제공=방송화면]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