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항공교통량이 역대 최고인 73만8000대를 기록했다.
31일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항공교통량이 2015년보다 9.0% 증가한 73만8000여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하루 평균 2018대가 움직인 것이다.
우리나라 공항을 이용해 국제 구간을 운항하는 교통량은 2015년보다 12.6% 증가한 44만8145대로 나타났고 국내 구간을 운항하는 교통량은 같은 기간 4.4% 증가한 24만3975대로 집계됐다.
특히 매일 오전 10시가 가장 붐볐다. 이 시간에는 평균 147대가 운항했다. 다만 인천공항의 가장 붐비는 시간은 오후 3시로 평균 59대 운항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항공교통량은 2009년 글로벌 경제위기로 일시적으로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 연평균 5.6%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5년(2012~2016년)은 연 7.6% 증가, 세계교통량 평균 증가 예측치인 4.7%를 뛰어넘었다.
주요 관제기관별로는 국내외 여행수요가 집중된 김해접근관제소 교통량이 전년 대비 14.1%(11만908→12만7070대)늘었다. 인천관제탑도 31만693대에서 10.9% 늘어난 34만5591대를 기록했다. 또, 훈련항공기가 주로 이용하는 여수, 무안, 울진 공항 관제탑을 분석한 결과 이들 공항 교통량이 전년 대비 각각 41.2%, 31.1%, 10.2% 증가했다.
전반적으로 전년 대비 월별 교통량이 증가했고 특히 6~8월에는 메르스 기저효과, 휴가철 여행객 증가 등의 영향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국토부는 세계 항공시장 전망보고서에서 세계항공 교통량이 앞으로 20년간 연 4.7% 증가하고 2035년까지 갑절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한 것을 고려해 원활한 항공 교통을 위한 노력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한편, 국토부는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 환율 변동성 등 우리나라 항공교통량의 변수들이 있지만 대체 공휴일이나 단거리 관광수요 확대 등에 따라 당분간 항공량이 증가할 것"이라며 "항공로 개선과 공항 수용량 증대 등을 통해 안전과 효율성 관리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