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한국 시장의 모바일 게임 인앱구매 수익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2025년에는 53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제공/센서타워] |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자사 디지털 광고 인사이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의 다운로드 및 수익 추세, 주요 장르별 변화, 대표 타이틀 및 퍼블리셔 성과를 종합 분석한 ‘2025년 한국 게임 시장 인사이트’ 리포트를 발표했다.
전 세계 모바일 게임 시장은 2024년 성장세로 전환하며 인앱구매 수익이 전년 대비 4% 증가한 810억달러를 기록했다.
2025년에는 6% 추가 성장해 854억달러, 2028년에는 1050억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스팀 게임 구매 수익은 2025년 119억달러(전년 대비 +12%)로 확대되며, 모바일 및 PC 게임을 합한 글로벌 디지털 게임 수익은 1200억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한국의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는 2020년 6억6000만 건으로 정점을 찍은 후 완만한 조정을 거쳤으며, 2025년에는 약 4억6000만 건으로 예상된다.
![]() |
| ▲ 한국 시장에서 4X 전략, 턴제 RPG, 머지 등 하위 장르 모바일 게임의 수익 급증 [제공/센서타워] |
이중 Google Play가 70%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인앱구매 수익은 팬데믹 기간(2021년) 55억달러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며, 2025년 53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이중 75%는 Google Play에서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장르별로는 RPG가 여전히 한국 시장 매출의 48%를 차지하며 핵심 지위를 유지했다.
그 외 전략(+22%), 퍼즐(+24%), 시뮬레이션(+16%) 장르가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다.
한국 시장 모바일 게임 수익 순위를 살펴보면 넷마블의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5월 출시 후 9월까지 약 1억2000만달러를 기록하며 올해 가장 성공적인 신작으로 꼽혔다.
![]() |
| ▲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신작들이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며 8개 신작 게임이 수익 성장 TOP 10에 진입 [제공/센서타워] |
‘RF 온라인 넥스트’, ‘마비노기 모바일’ 등 7개의 신작이 수익 성장 TOP 10에 포함되며 신작 중심의 활발한 시장 흐름을 보여줬다.
또한 센추리 게임즈의 4X 전략 게임 2종도 한국 시장에서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다.
그중 ‘화이트아웃 서바이벌’은 수익이 전월 대비 58% 증가하며 매출 순위 2위, 성장 순위 3위에 올랐고, 신작 ‘킹샷’은 성장 순위 8위를 기록했다.
캐주얼 모바일 게임으로만 수익 순위를 보면 MicroFun의 머지 게임 ‘씨사이드 이스케이프’와 ‘가십 하버’는 각각 전월 대비 67%, 22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캐주얼 수익 순위 TOP 10에 올랐다.
흥미롭게도 ‘에이펙스 걸’, ‘랜드 오브 제일’, ‘궁수의 전설 2’ 등 TOP 10 캐주얼 게임은 모두 해외 퍼블리셔 작품이었다.
![]() |
| ▲ 스텔라 블레이드는 Steam 플랫폼에서 전 세계 누적 수익 1억달러 돌파 [제공/센서타워] |
같은 기간 디지털 광고 노출은 810억 회를 넘어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600억 회)와 교육 업계(530억 회)를 크게 앞질렀다.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한국 게임 시장의 디지털 광고 집행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 |
| ▲ 게임은 한국 디지털 광고 시장의 핵심 집행 분야로, 2025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 광고 지출이 이미 3억3000만달러에 달해 [제공/센서타워]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