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카드사들의 '나만 아니면 된다'는 식의 영업 정책으로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을 두 번 울리고 있다.
22일 보이스피싱 피해자 카페(cafe.naver.com/pax1004)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자들이 카드사들의 얌체같은 행동으로 2차 피해를 입고 있다는 글들이 쇄도하고 있다. 지난해 544억원 규모이던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는 올 9월말 현재 627억원으로 급증하고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카드론에 대한 이자를 감면해주는 조건으로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에게 금융감독원의 민원을 취하하도록 종용하는 경우다. 카드론의 경우 15~25%의 고금리로, 거액을 사기당한 소비자들은 이자 부담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민원을 취하하고 있다.
금융당국과 여신금융협회 등은 "카드론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을 위해 이자를 감면해 주거나 분할상환 기간을 늘려주고 있다"며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을 위해 적극적인 구제 대책에 나서고 있는 것처럼 홍보하고 있지만, 이는 보이스피싱 피해 민원 접수건수를 줄이기 위한 카드사들의 '꼼수'다. 금감원은 지난 8월부터 반기별로 금융회사의 민원 건수를 공개하는 한편, 경영평가에도 반영하고 있다.
일부 카드사들은 사기 피해를 조사하면서 소비자에게 보상처리수수료를 부담시키는 경우도 조사됐으며, 카드론 대출을 갚으라며 새 카드론 상품에 가입하라고 강요하는 영업행태도 조사됐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