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데일리매거진=김영훈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 인상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산업계와 경제연구소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금융 불균형이 누증되고 있다. 이를 점진적으로 해소하는 등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금융불균형 누증은 가계부채 증가와 부동산시장에 과도한 자금 투입 등 저금리의 부작용을 말한다.
따라서 이 총리의 발언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의 발언이 주목을 끄는 것은 지난달 26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정책금리를 2.02~2.25%로 올리면서 한은이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는 것에 관심이 몰린 탓이다.
가계부채 급증, 부동산 시장 불안, 기업 양산 등 저금리의 부작용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한 한-미 금리 격차가 0.75%포인트로 벌어지면서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
우리나라는 현재 심각한 실물경기와 설비투자 부진을 겪고 있어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큰 후폭풍이 예상된다. 금리인상으로 인해 설비투자 위축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금융 취약계층의 이자 부담 역시 문제가 되어 국내 금융시장 불안 우려를 떨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금리인상을 더이상 간과할 수 없다. 미 금리 인상 이후 국내 시중금리가 치솟고 있어 경제주체들은 현실을 직시하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가계는 부채를 줄여야 하고, 기업은 늘어난 금융비용을 부담하며 생산성 향상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아울러 정부와 금융당국은 금리인상에 대비해 취약계층의 자금줄이 막히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