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우리나라의 밥상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쌀과 감자 값이 급등하면서 농산물 물가가 급등한 원인이기 때문이다.
3일 OECD에 따르면 4월 한국의 식품 물가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2.9% 상승했다. 상승 폭을 따지면 OECD 회원국 중 10번째로 높다.
올해 1월 30위까지 떨어졌던 식품 물가 상승률 순위가 지난해 9월 이후 다시 10위로 복귀한 것이다.
작년 3분기까지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은 OECD 최상위권 수준이었다. OECD 내 순위를 보면 2016년 4분기에는 4.5%로 3위, 작년 1분기에는 3.9%로 5위, 2분기에는 3.6%로 6위, 3분기에는 5.4%로 6위를 기록했다.
이후 밥상물가는 지난해 4분기부터 안정세로 돌아섰다. 식품물가상승률이 지난해 10월 1.7%로 19위, 11월 0.5%로 26위, 12월 0.2%로 29위, 올해 1월 -0.3%로 30위까지 내려갔다.
이러한 식품 물가 고공행진은 조류 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창궐, 무더위, 집중호우 등의 요인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요동쳤기 때문이다.
특히 4월 식품 물가가 폭등한 것은 감자 때문으로, 감자 가격은 76.9%나 오르며 2004년3월(85.8%) 후 약 14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5월 식품 물가는 감자 가격 상승 폭이 다소 축소됐지만, 채소류 가격 상승 폭(13.5%)이 여전히 커서 2% 중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쌀 가격이 꾸준히 오르며 전체 식품 물가상승을 이끌어가고 있다.
그러나 달걀은 40% 정도 하락하고, 파와 닭고기, 갈치(-15.4%) 등도 15% 안팎으로 가격이 내렸다.
개인서비스 가운데 학교급식비가 13% 내렸으나, 가사도우미료는 10.7% 올랐다.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 보다 1.4% 상승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결국 향후 식품 물가는 쌀 가격이 더 올라가느냐 떨어지느냐가 관건"이라며 "현재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