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행정안전부
[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우리나라의 주민등록 인구는 2017년 말 기준 5천177만8천544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도(5천169만6천216명)보다 8만2천328명(0.16%) 증가한 수치다.
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체 인구 5천177만8천544명 가운데 여자는 2천592만2천625명(50.1%), 남자는 2천585만5천919명(49.9%)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6만6천706명 더 많았다.
주민등록 인구는 2008년 이후 매년 늘고 있지만, 증가폭은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2008∼2009년 증가폭은 23만2천778명이었지만, 2016∼2017년에는 8만2천328명에 그쳤다.
주민등록 세대수는 2천163만2천851세대로, 2016년 말보다 33만8천842세대가 늘었다. 세대당 인구는 2.39명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주민등록 인구현황을 보면, 지난 1년간 전국 시·군·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경기 화성으로 5만196명이 늘었다. 반면 대구 달서는 1만3천823명이 줄어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다.
경기 용인은 지난 1년간 1만2천955명이 늘며 100만4천81명을 기록했다. 9월 말 기준으로 수원과 창원, 고양에 이어 4번째로 인구 100만 시(市)가 됐다.
시·도에서 인구가 증가한 곳은 경기(145만7천115명↑)와 세종(3만7천52명↑) 등 7곳이었고, 감소한 곳은 서울(7만3천190명↓), 부산(2만7천876명↓) 등 10개 시·도였다.
연령대별 인구분포를 보면 40대(16.8%)와 50대(16.4%)가 많았다. 이어 30대 14.2%, 20대 13.2%, 60대 10.9%, 10대 10.2% 순이었다. 70대 이상은 9.6%, 10대 미만은 8.6%로 집계됐다.
0∼14세 인구(678만5천965명)는 전체 13.1%로 2016년 대비 0.3%포인트 감소했고, 15∼64세 인구(3천763만6천473명)도 전체 72.7%로 전년도보다 0.4%포인트 줄어들었다.
반면 65세 이상 인구(735만6천106명)는 전체 14.2%로 지난해보다 0.7%포인트 증가했다.
2008∼2017년 0∼14세 비율은 매년 감소했지만 65세 이상 비율은 해마다 증가해 2016년 이후부터는 65세 이상 비율(13.5%)이 0∼14세 비율(13.4%)을 넘어섰다.
지역별 65세 이상 고령화 정도를 보면 시·도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는 전남(21.5%)이 유일했다.
군에서는 65세 이상 비중이 20% 이상 되는 곳이 전남 고흥(38.2%) 등 70곳으로 군 전체 82곳의 85.4%로 파악됐다.
==
금융위, 가상화폐 거래 억제 국제공조 촉구
"무시하기엔 너무 큰 위협…금융 국제기구가 나서야"
[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금융위원회가 가상화폐(암호화폐) 거래를 억제하기 위한 국제공조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용범 금융위 부위원장은 8일(현지시간)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금융안정위원회(이하 FSB) 운영위원회 회의에서 이같이 촉구했다.
FSB는 23개국 30개 회원기관(금융당국 및 중앙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 등 8개 국제기구의 최고 책임자들로 구성된 국제기구다.
김 부위원장은 이 회의에서 가상화폐와 관련한 국제적인 금융 리스크가 증가하는 만큼 금융당국이 이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발언했다.
그는 특히 금융당국의 전통적인 규제영역 밖에 존재했던 가상화폐가 최근 전통적 금융시스템과 금융소비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가상화폐는 무시하기에는 너무 큰 위험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한국의 가상화폐 특별대책을 소개하면서 국경을 초월한 사이버상의 거래가 불법행위나 자금세탁에 활용되는 상황을 반영해 FSB가 가상화폐에 대한 국제적 논의를 본격화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FSB가 각국의 가상화폐 관련 규제의 내용·효과 등 관련 정보를 적시에 취합하고 공유함으로써 각국의 가상화폐 대응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FSB 회의에선 이밖에 규제개혁 성과에 대한 평가 작업과 위규행위 리스크 완화방안, 사이버 보안과 핀테크 이슈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