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LG전자(대표이사 조성진, 정도현)가 평택직할세관에 수년간 지속적인 '휴대폰 로비’ 의혹을 받고 있다.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LG전자(대표이사 조성진, 정도현)가 평택직할세관의 일부 직원들에게 휴대폰을 정기적으로 상납한 정황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사건 은폐의혹과 함께 이른바‘휴대폰 로비’에 당사자들도 곤혹 스러워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관세청이 올해 초 세관장 등이 포함된 고위급의 인사 이동 결정을 내린 것도 이번 ‘휴대폰 로비’ 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휴대폰 로비’의혹과 관련해 지난 6일 동종업계는 LG전자가 평택직할세관 일부 직원들에게 휴대폰을 상납해 왔다는 소문은 그냥 소문이 아니라 상당한 근거가 있는 것이었다고 평 하고있다.
이같은 소문의 실체를 확인 해 준 것은 지난해 경찰이 LG전자 평택공장을 전격 압수수색 하는 과정에서 해당 세관 측에 휴대폰을 건넨 메모 기록을 발견하면서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간 것이 전해 지면서 부터다.
사정 당국에 의해 적발돼 공개된 해당 메모는 휴대폰을 받은 세관 직원들의 신상과 지난 수년 동안에 LG전자가 휴대폰을 상납한 내용 등이 상세히 기록돼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LG전자 측이 작성한 세관직원들의 명단에도 작성 목적이 무었이었을까하는 의문을 낳고 이에 대해서도 조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다.
이에 경찰은 일부 세관 직원들을 상대로 휴대폰을 건네 받게 된 경위 등을 조사 한 후 관세청 측에 ‘기관통보’를 하는 선에서 사건을 마무리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관통보는 사정기관이 공무원의 직무와 관련된 일로 조사나 수사를 받을 때 시작과 종결 시 해당 기관장에게 통보하는 것으로, 기관장 입장에서 볼 때 체면을 구기는 일일 수 있다는 시각이다.
이와는 별도로 있었던 올해 초 평택세관 인사 이동과 관련해 ‘휴대폰 로비’에 의한 징계성 인사의 연장선 일 수 있다는 관측을 제기하고 있다.
이번 문제가 된‘휴대폰 로비’에 일부 인사의 자리 이동이 징계 또는 좌천 성격으로 해석 될 수 있는 여지가 없지 않다는 시각에 무게가 실리는 대목이다.
일예로 지난해 8월 취임했던 평택세관장이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취임 5개월 만에 지금의 최양식 평택세관장으로 교체된 것도 해당 사건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또 다른 일각에서는 LG전자가 조직적으로 세관 직원들을 관리해 온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한편 LG전자는 지난 2005년 서울과 청주에 산재돼 있던 휴대폰 공장을 평택으로 이전시켰으며, 전자제품 수출입 업무를 관할하는 곳이 바로 평택세관이다.
본지는 여러 가지 의혹을 해명하기 위해 LG전자 홍보실의 관계자와 관련부서 고위층에 직접 연락을 취해으나 관련고위층의 비서실로 연결이 되어 이같은 사실관계를 확인해 줄 것을 요청하는 등 여러 차례 접촉을 시도했으나 확인 후 회신을 주겠다는 말만 되풀이 했다.
특히 LG전자가 휴대폰을 건넨 세관 직원 리스트를 작성해 조직적으로 관리해 온 것인지 아닌지 사실관계를 확인하려 했으나 LG전자 측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해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