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한국 GM노사는 23일 법정관리 기한을 앞두고 경영정상화를 위한 비용절감안에 합의했다. 노사 양측은 지난 2월 13일 군산 공장을 폐쇄한 데 이어 노사 협상을 시작한지 70여일 만이다.
핵심 쟁점인 군산공장에 남아있는 근로자 680여명에 대해서는 전환배치와 희망퇴직 제도를 도입해 당초 회사 측이 제시한 무급 휴직제도를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
또 부평2공장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노사 양측이 2022년 이후 말리부를 대체할 후속모델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3년간 학자금 지급을 유보하기로 했던 복리후생 삭감 부문은 사측이 철회했다.
노사는 부평공장에서 이날 새벽 5시부터 올 임금·단체협약 막판 교섭에 나서 정회와 속개를 거듭한 끝에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이날 오후 5시 법정 관리 시한을 3일 연장한 뒤 주말 협상에서 난항을 겪다가 막판 물밑 교섭을 통해 680명의 고용 보장 및 신차 배정 문제에서 절충점을 찾았다.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은 "노사협상 잠정합의를 통해 노동조합이 회사 정상화 계획에 동참했으며, 앞으로 이해관계자 차원의 지원을 구하고자 지속 협의할 계획" 말했다.
잠정 합의안은 거의 확실하다. 조합원 중에는 강성 집행부에 반대하는 사무직지회가 가장 많고, 합의안이 부결되면 법정 관리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가결 쪽에 무게가 실린다.
한편, 한국 GM관계자는 "이르면 25일 찬반투표를 마치고 협상을 최종 타결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