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올해 1월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제 상황을 보여 주는 주요 지표인 생산·소비·설비투자가 모두 증가한 것은 2017년 11월 이후 두달 만에 나타났다.
하지만 자영업자와 영세 자영업자가 많은 식당의 숙박 업소가 4개월째 하락세여서 서민들의 체감 경기는 다소 엇갈리고 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산업활동 동향을 보면 올해 1월 산업 생산 지수(이하 산업 생산)는 2017년 12월보다 1.2%증가했다.
산업 생산은 작년 11월 0.3%증가한 뒤 12월에는 0.5%감소했으나 새해 들어 반등했다.
산업 생산은 지난해 3월 1.2%증가한 데 이어 올 1월 증가폭이 가장 컸다.
1월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0%증가했다.
서비스업의 생산은 전문 기술, 수송, 창고 등이 증가해 전월보다 0.8%증가했다.
하지만 올해 최저 임금이 16.4%오른 가운데 음식 숙박 숙박업은 작년 10월 이후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1월 숙박 및 식당 생산은 1.3%감소해 작년 12월(-1.2%)보다 감소했다.
한국의 GM군산 공장 증설 계획 발표로 주목 받은 자동차 업종의 생산은 지난해 12월보다 12.1%증가했다.
통계청은 신차 출시에 따른 영향력이 작년 12월 부진한 기저 효과에 따른 것이라고 평가했다.
통계청 황운선 산업동향과장은 군산 공장 폐쇄 계획에 대해 "전국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아 전체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0.4%로 0.2%포인트 높아졌다.
소비 동향을 보여 주는 소매 판매액 지수는 지난해 12월보다 1.7%올랐다.
의류 등 내구재(4.3%)가 줄었지만 승용차 등 내구재(6.1%)와 음식료품 등 내구재(2.2%)가 늘었다.
투자 동향을 나타내는 설비 투자 지수는 6.2%늘었다.
설비 투자 증가율은 지난해 3월 10.1%에 이어 올해 1월 최고치다.
설비 투자는 작년 10월 7.2%감소한 뒤 11월에는 2.5%, 12월에는 6.0%증가해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 갔다.
설비 투자가 3개월 연속 증가한 것은 2016년 10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처음이다.
기획 재정부 관계자는 "세계 경제 개선, 수출 증가세 등으로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통상 현안, 미국 금리 인상 등 대내외 위험 요인은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대내외 통상 현안에 적극 대응하고 가계 부채와 부동산 시장 등 위험 요소를 강화할 것이라며 공급 측면에서 성장을 견인하는 혁신적인 성장을 강화하고, 수요 측면을 완화해 경기 회복세를 완화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통계청은 최근 경제 구조를 반영하기 위해 광공업 서비스업 동향 통계를 2010년부터 2015년으로 변경했다. 따라서 기존의 세부 공표 수치도 변경됐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