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인터파크 [출처=연합뉴스TV]
[데일리매거진=소태영 기자] 인터파크에서 유출된 1000만명이 넘는 개인정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에 대한 고객들의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인터파크는 지난 5월 해커로부터 이메일을 통해 악성코드 공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회원 총 1030만명의 정보가 유출된 상태다.
현재 인터파크 측은 이를 해외에 서버를 둔 APT 해킹 조직 소행으로 추정하고 있다. APT 해킹은 이메일이나 웹문서를 통해 악성코드를 설치해 놓고 오랜 기간 잠복했다가 공격하는 것을 뜻한다.
인터파크 측은 회원 정보 중 암호화된 파일로 따로 관리하는 주민번호와 비밀번호, 계좌번호 등은 유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2차 피해는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유출된 개인정보가 인터넷 암시장에서 거래될 경우 추가적인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앞서 지난 2014년 KB국민·NH농협·롯데카드 등에서 개인 정보가 유출된 이후 최근까지 2차 피해가 발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높아만 가고 있다.
이번 해킹을 통해 단순 개인정보 뿐 만 아니라 개인 여행 스케줄이 함께 유출됐을 경우 오프라인 범죄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 보안업체 관계자는 "유출된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 등은 암거래 시장에서 판매돼 스펨메시지 발송 등에 사용될 수 있다"며 "비밀번호를 자주 변경하는 것도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에서는 수상한 일이 있는지 수시로 점검하고, 정부 차원에서는 정보 유출 예방 차원의 활동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피해를 입지 않은 기업이라도 신고가 들어오면 수사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직원 이메일 및 피해전산망 분석을 통해 유출 경위를 규명 중인 상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