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지자체가 선정해 통보한 내용 바탕으로 지정병원 여부 결정"

[데일리매거진=전성진 기자] 정부가 각 지역별 메르스 집중치료기관을 지정하면서 방역시설을 갖추지 않은 병원까지 포함시켜 엉터리 행정이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지난 10일 보건복지부는 에르스 확진환자의 치료를 위해 전국 16개 병원을 지역 메르스 집중치료병원으로 지정해 발표했다.
집중치료병원에는 보라매병원을 비롯해 분당서울대병원, 충남대병원, 경북대병원, 전남대병원, 울산대병원, 강원대병원 등 전국 대형병원을 망라했다. 여기에는 부산대병원도 포함됐다.
하지만 부산대병원에는 응압병상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문제가 생겼다. 응압병상은 기압차를 이용해 병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해 병원균과 바이러스 차단을 할 수 있는 특수시설을 말한다.
원래 부산대병원은 음압시설을 갖춘 호흡기센터를 오는 8월 개원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부산대병원에는 환자가 오더라도 추가 감염에 대비한 임시적 방역시설 설치가 불가피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부산시 관계자는 "감염병 관리계획을 복지부에 보내면서 향후 완공될 부산대병원 시설현황도 같이 보냈는데 지정병원 선정 자료로 잘못 쓰인 것 같다"면서 "동아대학병원으로 거점병원을 재지정 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권준욱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기획총괄 반장은 "지자체와 협의를 했고, 지자체가 선정해 통보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정병원 여부를 결정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출처=방송화면 캡쳐]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