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는 그동안 위헌 판결과 수정안 논란 등을 겪고, 수도권 과밀해소와 국토 균형발전을 목표로 드디어 정부직할 17번째 광역자치단체로 출범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2년 신행정수도 건설을 대선공약으로 내놓은 지 10년 만이다.
때문에 오늘 오전에는 세종시 출범을 맞아 세종시민체육관에서 김황식 국무총리 등 2천3백여 명이 참석해 세종시장 취임식 및 출범기념식 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세종시에는 9월 국무총리실 등을 시작으로 정부 기관들이 꾸준히 이전돼 2014년까지 36개의 정부기관이 이전될 계획이다. 때문에 2014년 말에는 전체 중앙행정기관의 3분의 2가 모인 행정 도시로 거듭나 실질적인 행정수도 역할을 시작할 것이다. 여기에 청와대 제2집무실과 국회 분원의 설치 의견도 제기되고 있어, 두 기관이 세종시에 입지하면 실질적인 행정수도로서의 기능을 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현재 세종시 인구가 12만 1000명이지만 2020년에는 30만 명, 2030년에는 50여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해 이에 맞춰 150개의 학교가 들어설 계획이다.
세종시는 도시 면적의 50% 이상을 공원과 녹지공간으로 조성하는 친환경도시,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된 첨단도시로 만들어진다. 특히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능지구로 지정돼 거점지구에서 개발된 원천기술의 사업화와 배후 지원 기능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대선주자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은 1일 "세종시가 실질적 행정수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발전시킬 계획"이라며 세종시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문 고문은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참여정부가 목표했던대로 행정수도로 발전시켜 나가려면 좀 더 많은 국민적 공감대가 마련돼야 한다"고 전제하며 이같이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