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사, 조선대 교수 이메일 행킹…조직적 범행

배정전 / 기사승인 : 2011-10-21 10:35:30
  • -
  • +
  • 인쇄

기광서.jpg
▲기광서 조선대학교 교수 모습

[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지난달 발생한 기무사령부 요원들의 조선대학교 기광서(48) 교수 사찰은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범행이라는 정황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이미 구속된 7급 군무원 김모씨와 장모 중사의 선임이 사찰을 지시했고, 지를 받은 군무원은 기무사의 사이버 전문요원까지 동원해 해킹을 시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방부는 20일 기 교수의 이메일과 웹하드에 대한 해킹을 교사(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한 혐의로 18일 한모 원사를 구속했다고 밝혔다. 한 원사는 구속된 김씨, 장 주아와 마찬가지로 광주 기무부대 방첩분야 소속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구속된 세 명은 모두 활동요원으로 편제상 대등한 관계지만 김씨와 장 중사가 부대로 전입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지역 사정을 잘 모르기 때문에 한 원사가 사실상 지시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김씨와 장 중사가 혐의를 부인했던 1,2차 해킹은 사이버 보안과 통신분야 전문가인 서울 송파지역 기무부대 소속 군무원 한모(35)씨가 군무원 동기인 김씨의 요청을 받고 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씨는 8월 29일 부대 사무실에서 기 교수 이메일 계정의 ID와 비밀번호를 알아냈고, 9월 1일에는 경기 분당지역에서 기 교수의 웹하드에 있던 인명자료를 빼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9월 2일에는 한씨가 일러준 방법대로 군무원 김씨와 장 중사가 광주 시내의 PC방에서 기 교수의 논문자료를 해킹했다.

국방부는 한씨가 18일 자수해 참고인으로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그의 신분은 조만간 피의자로 바뀔 것으로 알려졌다.

이제 관심은 계장(준위), 과장(중령) 등 한 원사 상관들이 이번 사찰에 관여했는지 여부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당초 광주에 있는 육군 31사단 헌병대의 수사를 지원하다가 추가 가담자가 드러나자 19일부터 수사를 전담하고 있다. 결과는 이달 말 나올 예정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