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급여' 총액 지난해보다 38.8% 증가… '고용 한파'에 지급액 5개월만에 역대 최대치 또 경신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19-02-10 12:30:09
  • -
  • +
  • 인쇄
1월 6천256억…고용보험 피보험자는 83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증가

20190210_120937.png
▲사진=고용센터의 실업급여 상담 창구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실업자의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지급하는 구직급여 총액이 지난달 기준 6천256억원으로 작년 동월 4천509억원 보다 무려 38.8% 증가 하면서 지난달 역대 최대치를 또 경신했다.


1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2019년 1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이 작년 동월 보다 38.8%로 증가한 것이다.


이같은 수치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지난해 8월 지급액 6천158억원 보다도 많은 액수다.


구직급여 지급액이 작년 동월보다 대폭 증가한 것은 구직급여 지급 기준인 최저임금 인상으로 지급액이 커진 데다 고용 사정이 나빠 구직급여를 받는 사람이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달 구직급여 수급자는 46만6천명으로, 지난해 같은달 40만5천명 보다 늘어난 15.1% 증가했다.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도 17만1천명으로 전년의 같은달 15만2천명 보다 12.7% 늘었다.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를 업종별로 보면 경기 둔화를 겪고 있는 건설업에서 5천명 늘었고 사업서비스업과 제조업에서 3천명씩 증가했다.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지난달 1천330만8천명으로, 지난해 같은달 1천280만8천명보다 50만명으로 3.9% 늘었다. 전년 같은달 대비 증가 폭은 2012년 2월 53만3천명 이후 83개월 만에 가장 컸다.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작년 1월부터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피보험자 증가는 고용보험을 통한 사회안전망에 편입된 사람이 늘어난 것으로, 그만큼 고용의 질이 개선된 것으로 해석된다.


고용보험 피보험자가 계속 증가하는 데는 경기 요인 외에도 고용보험 가입 대상을 확대한 정책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지난달에도 고용보험 피보험자 증가를 이끈 것은 서비스업이었다. 지난달 서비스업의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889만8천명으로, 지난해 같은달 보다 47만6천명 늘었다.


업종별로는 보건복지에서 12만4천명 늘었고 내수 업종인 도소매(7만4천명)와 숙박음식(6만5천명)도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달 제조업의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357만5천명으로, 지난해 같은달 보다 3천명 증가했다. 제조업의 전년도 같은달 대비 피보험자는 작년 12월 2천명 감소했으나 지난달 증가로 돌아섰다.


1구인.jpg
▲사진=채용공고게시판을 바라보고 있는 사람들 ⓒ데일리매거진DB

구조조정 중인 조선업을 포함한 기타 운송장비 업종의 피보험자는 구조조정 여파의 완화로 감소 폭이 2천명으로 줄었다. 기타 운송장비의 피보험자는 올해 1분기 중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노동부는 보고 있다.


자동차 업종의 피보험자는 지난달 1만1천명 감소했다. 완성차 제조업과 부품 제조업에서 각각 4천명, 7천명 줄었다.


지난달 고용보험 피보험자를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300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36만2천명(3.9%) 증가했고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13만9천명(4.0%) 늘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