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합니다.
[데일리매거진=김영훈 기자] 국제유가의 하락 영향으로 인해 정유업계가 10년만에 정제마진 감소로 지난해 4분기 최악의 영업손실 쇼크에 빠졌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1월 넷째주 기준 싱가포르복합정제마진은 배럴당 1.7달러로 전주(2.5달러)에 비해 0.8달러가 더 떨어졌다. 지난해 1월 평균 싱가포르복합정제마진은 6.1달러였다.
정제마진이 주간 기준으로 1달러대를 기록한 것은 2009년 12월 첫째주(1.79달러) 이후 약 10년 만에 처음이다.
정제마진은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료인 원유 가격과 수송·운영비 등 비용을 뺀 금액이다. 싱가포르복합정제마진은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권 정유사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정제마진이 급락한 가장 큰 이유는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두바이유 가격보다 저렴해지면서 값싼 원료를 활용한 북미 정유업체들의 휘발유 생산량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글로벌 경기둔화 움직임으로 수요가 받쳐주지 못하면서 미국과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 동시에 재고가 쌓이고 있다.
정유업계의 4분기 ‘실적쇼크’는 국제유가 폭락에 따라 나타났다. 정유사는 통상 원유를 구입한 후 2∼3개월 지나서 판매하기 때문에 미리 산 원유 가치가 떨어지면 재고평가손실이 발생한다. 반대로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타면 실적상승으로 이어진다.
지난해 두바이유와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10월 각각 배럴당 80달러와 75달러를 넘었던 것이 연말이 되자 50달러 초반과 40달러 중반으로 급락했다. 이 같은 유가 하락은 정유사의 재고평가손실에 직격탄으로 이어졌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3년 동안 호황을 누리다가 급격히 사이클이 꺽이니까 더 불황에 대한 우려가 크다"며 "새해에는 달라질 것이라 생각했는데 상황이 더 나빠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