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진에 9월 예금회전율, 31년 8개월 만에 최저

이상은 / 기사승인 : 2018-11-15 09:48:34
  • -
  • +
  • 인쇄
한은 "추석으로 은행 휴업일 늘자 예금 지급 줄어"

한국은행.jpg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경기 부진으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가계나 기업이 은행에서 쉽게 꺼내쓸 수 있는 예금을 좀처럼 인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예금은행의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16.4회였다. 이는 16.3회를 기록한 1987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예금 지급액을 예금 잔액으로 나눈 값이다. 예금 회전율이 낮을수록 가계, 기업이 돈을 인출해 쓰지 않고 은행에 예치한 채로 두는 경우가 많다는 뜻이다.


올해 2월 17.9회로 떨어진 예금 회전율은 3∼4월 20.4회로 올라갔다가 7월 19.7회, 8월 18.5회에서 9월 들어 뚝 떨어졌다. 분기 기준으로도 예금 회전율은 올해 3분기 18.2회로 1987년 1분기(17.9회) 이후 가장 낮았다.


예금 회전율이 떨어진 데는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투자 축소 탓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요구불예금은 단기 부동자금 성격이 짙다. 예금주가 필요할 때 적은 비용으로 쉽게 꺼내쓸 수 있어 투자처가 생기면 바로 빠져나갈 수 있어서다.


최근에는 미국 금리 인상과 미중 무역분쟁, 글로벌 경제 성장세 둔화 가능성에 한은 금리 인상 가능성과 고용 부진, 반도체 경기 전망 불투명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얽혀 수익률을 보장할만한 투자처를 찾기 쉽지 않다.


부동산 대책에 따라 부동산 거래가 줄어들거나 증시 불안 때문에 주식 투자도 움츠러들면 예금 회전율은 더 떨어질 수도 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동산 거래가 둔화하거나 투자가 위축되면 대기 자금이 늘어나게 돼 예금 회전율이 떨어지게 된다"며 "풀린 돈이 과거만큼 경기 활성화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