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안정미 기자] 정부가 대출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한국의 가계빚 증가속도는 세계 최상위권으로 나타났다.
3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5.2%로, 1년 전과 비교해 2.3%포인트 상승했다.
이런 상승폭은 BIS가 집계한 43개 주요국 가운데 중국(3.7%포인트), 홍콩(3.5%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전년 같은 기간(4.6%포인트)보다 상승폭이 작아졌지만 순위는 3위로 같았다.
경제 성장세는 둔화된 반면 규제를 피해 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 전세대출 등이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이 배경으로 꼽힌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가계부채 증가세가 많이 둔화했는데도 GDP 대비 비율이 많이 상승했다는 것은 주요국과 비교해서 경제 성장세에 비해 가계부채 증가세가 빠르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 위원은 "우리나라 전체 주택가격 상승률은 높은 편이 아닌데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아진 데서 볼 때 주택담보대출 외에 다른 대출이 많이 늘었을 개연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