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중국, 미국과의 무역전쟁 [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전쟁에서 맞붙기 위해 꺼낼 수 있는 다음 카드로 추가 관세 부과 외에 미 기업 보이콧, 위안화 평가절하, 미 국채 매각, 대북제재 완화, 관광·교육 등 서비스 부문 교류 제한 등이 동원될 수 있다고 미 CNBC 방송이 19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통계 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이 미국에서 수입한 규모는 1천299억 달러로, 미국으로 수출한 규모인 5천55억 달러에 크게 못미친다.
따라서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미국과 맞붙는다면 직접적 무역 보복 효과가 빠르게 소진될 것이며, 국제 사회에서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이 거론되는 만큼 도덕적 우위는 미국 차지가 될 것이라고 LPL리서치는 진단했다.
그렇다고 해서 중국이 무역전쟁을 두려워하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왔다.
오안다의 애널리스트인 크레이그 얼람은 "중국이 무역전쟁을 원하지는 않지만, 무역전쟁에 연루되는 것을 무서워하지도 않는다"라면서 "이 때문에 무역전쟁이 언제 어떻게 끝날지 알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이런 점에서 중국이 우선 미국산 제품과 서비스를 상대로 관세 부과, 수입 제한 등 대응 조치를 내리면서도 또 다른 선택지를 검토할 수 있다고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인 알렉 필립스는 내다봤다.
중국 내부적으로는 중국 상무부가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방침에)반격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힌 이상 관세부과 대상 범위를 대폭 확대하고 상품 무역 뿐 아니라 서비스 무역에까지 손을 대는 식으로 미국 압박 수위를 높일 것이란 의견도 나오고 있다.
중국 상무부 부부장을 지낸 웨이젠궈(魏建國) 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 부이사장은 중국이 꺼낼 수 있는 카드로 미국산 항공기, 반도체, 에너지에 이르기까지 보복관세 부과 대상을 확대하고 교통, 관광, 교육 등의 분야를 타깃으로 미국의 서비스 무역에도 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웨이 부이사장은 "중국은 또 일시적이라는 표현을 빼고 영구적으로 보복관세를 적용한다는 식의 수위 조절에 나설 수도 있고, 상황이 더욱 악화되면 미국 기업들을 중국 금융 시장에서 아예 배제시키는 전략을 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