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도쿄의 샐러리맨 [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일본에서 올해 본업 이외에 부업을 갖거나 투잡을 가진 사람이 사상 최고 수준인 744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일본 정부가 인력난 해소 등을 위해 올해를 '부업원년'으로 정하고 다양한 근무방식 도입을 권장한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9일 업무위탁 중개회사 '랜서스'가 지난 2월 전국 20~69세 남녀 3천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를 토대로 추계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부업이나 겸업 인구는 744만명으로 추산됐다.
이는 3년전인 2015년 533만명에 비해 211만명(39.6%) 늘어난 것이다.
부업·겸업을 유형별로 보면 자택에서 할 수 있는 집필이나 전표입력 등이 165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영업이나 기획 등의 업무가 137만명, 정보기술(IT) 81만명, 컨설팅 61만명 등이다.
부업·투잡으로 인한 경제효과는 2015년 2조8천억엔(약 29조원)에서 올해는 7조8천억엔(약 78조원)으로 3년만에 3배 가까이로 늘었다.
일본 정부는 올해를 부업원년으로 정하고 다양한 근무 방식 도입을 통해 기업에 부업이나 겸업을 허용하도록 권유하고 있다. 지자체를 중심으로 공무원들의 부업 허용도 늘어나는 추세다.
모두 부족한 인력난 해소와 소득 확대를 통한 경기부양을 겨냥한 것이다.
일본총합연구소 야마다 히사시(山田久) 수석연구원은 NHK에 "근로자와 기업 양측 모두에 플러스가 되기 위해서는 뭐든지 부업으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좋은 부업과 나쁜 부업의 기준을 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