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초기알츠하이머병 조기발견과 의료적 치료접근성 향상방안 모색을 위한 국회 정책 토론회 [제공/이종성 의원실]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은 오는 29일 14시 국회의원회관 제7간담회의실에서 ‘초기알츠하이머병 조기발견과 의료적 치료접근성 향상방안 모색을 위한 국회 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대한치매학회가 주관으로 함께 한다.
중앙치매센터의 '대한민국 치매 현황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치매환자는 노인인구 대비 10.2%이고, 2022년 3월 기준 전국 추정 치매환자 수는 약 88만 명으로, 추정 치매 유병률은 10.3%에 이르는 실정이다.
또한 치매 유형별로 알츠하이머 치매(76.04%), 혈관성 치매(8.57%), 기타 치매(15.37%) 순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135만 명, 2040년 217만 명, 2050년에는 300만 명이 넘는 치매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큰 문제는 치매 환자에 대한 간병과 치료에 수반되는 비용이 계속 증가하여 개인과 가정은 물론 국가 차원에서도 부담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2010년 치매환자 1인당 연간 관리 비용이 1,851만 원이었으나, 2020년 기준 2,061만 원으로 증가했다.
게다가 국가치매관리비용도 2020년 17조 3천억 원에서 2030년 31조 8천억 원, 2040년 56조9,000억 원, 2050년 88조6,000억 원, 2060년에는 109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따라서 경도인지장애 또는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조기발견과 진단을 위한 정책, 행정, 의료체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나아가 시의적절한 의료적 치료가 병행될 필요가 커지고 있다.
최근 보건복지부도 2023년 고령자 인지건강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치매 유병률·돌봄 부담 등 향후 치매정책 기초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 사진=국민의힘 이종성 의원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