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명계 Vs. 비명계 일촉즉발(一觸卽發) … 이재명 대표 "유감 표명하라" 압박

이정우 기자 / 기사승인 : 2022-11-22 09:46:07
  • -
  • +
  • 인쇄
-이재명 대표 최고위서 "민생 챙기겠다" 강조
-박용진·조응천, '방탄 논란' 당헌 80조 언급하며 공세 개시

 

▲사진=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최고위원회에서 발언을 하고있다.   [제공/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취임 6개월 반이 지난 주말 거리에서는 민주노총이 주축이 되어 민주당 국회의원이 참석해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한다는 명분으로 본질은 간데없고 '정권 규탄', '대통령 퇴임'을 연호하는 범야권의 목소리에 동의 하지 못하는 국민 절반이 이들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런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분신이라 지칭했던 측근중에 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정진상 당 대표실 정무조정실장의 잇따른 구속으로 자신을 향해 성큼 더 다가온 가운데 이를 회피하는 수단으로 당을 거리로 나서게 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 여의도 정가의 소신 있는 목소리가 힘이 실리고있다. 

 

이와는 별도로 이재명 대표는 검찰과의 거리 두기에 나서는 모양세다 이는 검찰에 맞설수록 '사법 리스크'를 더 부각하게 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당내에서는 '비명'(비이재명)계를 중심으로 검찰 수사에 대한 입장을 촉구하는 목소리들이 분출하기 시작해 이 대표의 리더십도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른 분위기다.

 

이 대표는 지난 2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진상 실장 구속에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검찰 독재정권의 어떤 탄압에도 민주당은 흔들림 없이 민생과 경제를 챙기고 평화와 안보를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검찰 수사를 야당 탄압으로 규정하는 동시에, 민생을 챙기는 대안 야당을 강조하는 일종의 '우회 전략'을 펴는 듯 하며 검찰을 향한 공세에는 다른 지도부가 나서는 모양세다.

 

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는 같은날 회의에서 "민주당은 '이재명 죽이기'를 절대 용인하지 않겠다"고 목소리를 높였고 당 윤석열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 위원장인 박범계 의원 또한 정 실장의 압수수색 영장에서 검찰이 이 대표와 정 실장을 '정치적 공동체'로 규정한 데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박범계 의원은 같은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정치적 공동체'라는 (의미를) 알 수 없는 비법률적 용어를 쓴 것은 정치인 이재명에 대한 강력한 흠집 내기"라고 검철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같은 강경파 지도부와는 결이 다른 이들도 목소리를 내고있다. 아직은 소수이지만 이들은 사법 리스크가 당에 주는 부담이 커지는 만큼 이 대표가 최소한의 해명은 내놔야 한다는 주장이 비명계측에서 공개적으로 나왔다.

 

가장 앞장선 이는 조응천 의원으로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서 "최측근이 연이어 구속된 데 '최소한 물의를 일으켜 미안하다'라는 유감 정도는 표시할 때가 되지 않았나"라며 애둘러 당대표인 이재명대표를 향한 비판에 나섰다.

 

이날 조응천 의원은 지난 8월 이재명 대표가 당 대표로 선출된 전당대회 때 논란이 됐던 당헌 80조 문제까지 꺼내 들었다. 지난 대선을 앞두고 개정된 당헌 80조는 부정부패와 관련된 법 위반 혐의로 기소 시 당직을 정지하되 정치보복으로 인정되면 당무위 의결로 이를 취소한다는 내용의 골자로 이름하여 이재명 구하기 당헌 개정에 나섰 던 것을 비판한 것으로 풀이 된다.

 

대선기간중 전당대회에서 이재명 대표와 맞대결을 벌였던 박용진 의원 또한 당시 사법 리스크를 안은 이 대표를 위한 '방탄용 당헌 개정'이라고 강하게 비난한 바 있다.

 

박용진 의원도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서도 "김 부원장이 기소됐으니 당헌 80조를 적용하는 문제를 논의해야 할 때 아닌가"라고 지적했던 것에 대해 사실상 비명계의 공세에 친이재명계의 지도부는 선을 그었다.

 

친이재명계의 박성준 대변인은 최고위원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일부 당내의원들의 유감 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두고 "정 실장 구속은 야당 탄압"이라며 "이 대표가 페이스북으로 충분히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당헌 80조 적용 문제를 두고는 "지금까지 지도부에서 논의한 바 없다"고 말했다. 

▲사진=무소속 민형배 의원, 더불어민주당 양이원영 의원, 강민정 의원, 안민석 의원, 유정주 의원, 황운하 의원, 김용민 의원   [제공/연합뉴스]

이렇듯 내부 분열이 시작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지도부도 검찰 수사에 맞서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민주당 의원인 양이원영, 강민정, 안민석 , 유정주, 황운하, 김용민 의원이 장외 집회에 참석해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외치는 문제도 풀어야할 숙제로 지도부는 국회의원 개인의 선택이라며 거리를 두고는 있으나 국민의힘 의원들은 한목소리로 '대선 불복'이라며 민주당의 공식 입장을 밝히라며 공세에 나서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