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국 8개 시도, 제1차 '기회발전특구'로 지정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24-06-21 09:44:55
  • -
  • +
  • 인쇄
-경북·전남·경북·전남·전북·대구·대전·경남·부산·제주 8곳 지정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8개 시도, 200여개 기업이 약 26조원의 신규 투자 계획
-착공에 들어간 투자액 14조5천억원까지 포함하면 총 40조5천억원의 투자
▲ 제1차 기회발전특구 지정 지역 [제공/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전국 8개 시도를 제1차 '기회발전특구'로 지정하고 우주항공·바이오·이차전지 등 첨단산업부터 금융·문화콘텐츠 등 서비스 산업까지 투자를 촉진한다.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8개 시도에서는 200여개 기업이 약 26조원의 신규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정부는 집계했다.

착공에 들어간 투자액 14조5천억원까지 포함하면 총 40조5천억원의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20일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서 제9차 지방시대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산업통상자원부가 제출한 기회발전특구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심의 의결한 8개 시도는 경북, 전남, 전북, 대구, 대전, 경남, 부산, 제주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경상북도의 경우 포항(이차전지 소재), 상주(이차전지 소재), 구미(반도체·이차전지·방산), 안동(바이오) 등의 입지 총 152만평이 특구로 지정됐다.

전라남도에서는 목포·해남(해상풍력 터빈), 광양만권(이차전지 소재), 순천(문화콘텐츠), 여수(LNG터미널·수소), 해남(데이터센터단지) 등 125만평이 특구로 지정됐다.

대구시에서는 수성구(데이터센터·정보통신기술·소프트웨어), 달성군(이차전지 소재·전기차 부품), 북구(전기차·로봇 부품) 등 82만7천평이 특구로 지정됐다.

전북특별자치도에서는 전주(탄소섬유), 익산·정읍(동물용 의약품·건강기능식품), 김제(자동차부품·특장차) 등이 위치한 입지 88만5천평이 특구로 지정됐다.

이밖에 대전시(방산·바이오), 제주특별자치도(우주항공), 부산시(금융), 경상남도(해상풍력 구조물) 등도 기회발전특구로 낙점됐다.

이 같은 특구 지역에서 투자기업과 지방정부 간 투자협약을 맺었다.

아울러 정부는 이 같은 기회발전특구에 투자하는 기업들을 위한 추가 인센티브도 마련할 방침이다.

기회발전특구로 이전해 오는 기업의 경우 가업상속 공제를 받는 대상을 연매출 5천억원 미만에서 1조원 미만 기업으로 확대한다.

공제 한도도 최대 600억원에서 1천억원으로 늘린다.

또 기회발전특구 내 중견·중소기업에 대한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추가 우대하는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