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산업부, 정책 협업플랫폼 가동…"사각지대 없애겠다"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19-02-22 11:56:15
  • -
  • +
  • 인쇄
해외전시회 지원 등 수출마케팅 강화

2019-02-22 11;52;49.JPG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ㆍ중견기업의 성장 촉진을 위해 공조를 강화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양 부처 차관 주재로 22일 한국생산성본부에서 '2019년 제1차 중기부-산업부 정책협의회'를 개최, 산업ㆍ기업정책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수출마케팅 강화 △중소·중견기업 연구개발(R&D) 연계 △스마트공장 확산 △규제자유특구 활용 △제조업 창업 활성화 등에 대한 협력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된다.


먼저 두 부처는 연구개발 지원 대상과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매출 100억~1000억원 기업을 지원하는 중기부의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 대상이 매출 100억~700억원으로 확대 개편된다.


매출 400억~1조원 대상인 ‘월드클래스 사업’은 중견기업과 매출 700억~1조원 후보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월드클래스 플러스(+)’ 사업으로 바뀐다. 산업부는 연구개발 예산 가운데 1조2천억원(35.9%·2017년 기준)을 중소기업에 지원했는데, 비중을 더 확대해 지원 사각지대를 없애겠다는 방침이다.


김학도 중기부 차관은 “중기부로 승격되면서 과거 산업부-중기청 협력과 비교해 보다 넓은 범위에서 양 부처의 협업이 요구되고 있다”고 강조하고 “창업·벤처기업 스케일업,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등 기업정책이 산업 정책과 조화롭게 연계되도록 협력해 정책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자”고 제안했다.


정승일 산업부 차관은 “산업과 기업정책은 우리 경제성장을 이끄는 쌍두마차와 같다”고 언급하며 “최근의 수출부진 등 대내외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산업의 혁신과 기업의 지속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기업정책간 협업·연계 등 양 부처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밝히고, “당면 현안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수출활력 제고를 위해 실물경제를 담당하는 양 부처간 협력을 강화해 보다 수요자 친화적인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업계의 애로 해소와 투자를 지원하자”고 강조했다.


이 밖에 지역의 신산업 창출과 혁신을 위한 부처 간 협력도 강화하고, 제조업의 활력을 회복하고 혁신형 제조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양 부처가 협력해 공동으로 제조업 창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여 발표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전통시장 활력 제고, 제로페이 활성화 등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양 부처가 협력하게 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