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설 주장보다 지금은 국민의당으로서 자부심 가져야 할 때"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
[데일리매거진=김영훈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공동대표가 지난 4일 자신이 칩거에 들어갔다는 것을 반박하며 결국 대선은 자신과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대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연초에 정리한 몇가지 생각을 말씀드리려 한다"며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안 전 대표는 "일부 언론에서 '칩거'라고 나왔지만, 사실 칩거라는 표현은 적절치 않다"며 "정말 많은 분들을 만나서 말씀들을 나누고 의논했고, 3일엔 팽목항에 다녀왔다"고 했다.
이어 "다시 생각을 정리하고 초심을 다잡기 위해 (팽목항에) 다녀왔다"며 "칩거가 아니라 아주 긴 숙고의 시간을 가졌다"고 설명했다.
안 전 대표는 "원내대표 선거 때문에 칩거했다는 것은 오해"라며 "원내대표 경선에 나오신 두분 모두 훌륭한 정치인이다. 굳이 선택하자면 김성식 의원이 더 역할을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지만, 주승용 원내대표도 워낙 경륜이 풍부하고 정치력이 있는 분"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또 "하나 더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이번 원내대표 경선 결과를 보면 일부에서 (국민의당이) 안철수 사당이 아니었다는 것이 증명된 결과"라고 주장했다.
이어 안 전 대표는 국민의당 내에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혹은 개혁보수신당과의 연대설과 관련해서도 "지금은 어느 때보다 우리 당에 대해 자신감과 자부심을 가질 때"라며 연대에 대한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안 전 대표는 "역대 선거들을 보면 자신감이 부족해 다른 세력과 연대를 주장하는 경우 선거에서 대부분 패배한다"며 "우리가 주도적으로 무엇을 하겠다고 하지 않고 단순히 다른 세력에 대한 반대를 기치로 내걸고 선거를 하다 보면 패배하는 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스스로 우리 당과 여러 대선후보들에 대해서 자신감을 자고 우리가 무엇을 하겠다고 무소의 뿔처럼 일관되게 밀고 나가면 결국 국민들에게 인정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안 전 대표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을 거치면서 우리는 자칭 보수세력이 깨끗하지도 않고 따뜻하지도 않고 책임지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알았다"며 "이번 박근혜 게이트는 뿌리까지 썩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러면 다음 정권을 책임질 자격이 있는 정당은 어디인가. 결국은 민주당과 국민의당 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며 "만약 문 전 대표가 제일 유력한 후보이고 제가 노력해서 인정받아 국민의당 후보가 된다면 결국 문 전 대표와 저의 대결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국민들은 과연 누가 더 정직하고 누가 더 능력 있고, 어려운 상황을 돌파해 결과물을 만들어냈는지 그리고 또 누가 책임져왔는지 그런 기준으로 판단할 것"이라며 "저는 선택받을 자신이 있다"고 확언했다.
안 전 대표는 또 "대통령 결선투표제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촉구했다.
안 전 대표는 "다음 대통령은 누가 되든 국민들의 기대 수준이 굉장히 높아져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다수의 국민들로부터 지지받는 사람이 뽑혀야 개혁의 동력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런데 지금 다당제 구도하에 유권자 20% 정도의 지지만 받고 대통령이 되는 셈이다. 그러면 80%는 찍지 않은 사람들이니 관망하고 있다가 조금 마음에 안 들면 비판적으로 돌아선다"며 "늦어도 둘째 해에는 레임덕에 빠질 위험이 굉장히 크다"고 강조했다.
안 전 대표는 "두번째로 대선 결선투표제가 있으면 네거티브 선거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며 "네거티브 선거를 열심히 하면 적을 많이 만들기 때문에 절대로 1등은 못 된다. 즉 정책선거 쪽으로 열심히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또 "국민에 의한 연대가 실현될 수 있다"며 "결선투표제가 없으면 결과를 만들기 위한 연대에 집착하게 되는데 결선투표제가 있으면 결과에 의한 연대가 되는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 전 대표는 "이런 당위론에 대해 문 전 대표도 동의한 바 있다"며 "만약 결선투표제가 필요하다면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더라도 정치적 합의를 통해서 해결방법을 찾는 것이 정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연초 여론조사를 보면 저는 지금 2등 안에 안 든다. 유불리를 따져서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유불리를 따지기 전에 이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주장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지금 같은 대한민국의 위기 상황에서는 모든 정치인이 자신의 유불리를 뛰어넘어 옳은일을 주장하고 관철해야 할 때"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을 국민들이 그리워하는 것은 유불리를 생각하지 않고 행동으로 옮기고 결단했기 때문이 아닌가. 지금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