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지급액, 10년 만에 3배 이상 증가…고용보험기금 실적립금 3조9천억원 적자

이정우 기자 / 기사승인 : 2023-07-25 09:25:34
  • -
  • +
  • 인쇄
-당정, 구직 의욕을 높여 재취업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
▲ 사진=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실업급여 신청 창구 [제공/연합뉴스]

 

실업급여 지급액이 10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실업급여 현황과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한 정부 입장을 설명했다.

국민의힘과 정부가 지난 12일 실업급여의 하한액을 낮추거나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뒤 논란이 이어지자 우호적인 여론 조성에 나선 것이다.

노동부에 따르면 실업급여 액수는 2012년 3조4천418억원에서 작년 10조9천105억원으로 3.17배 늘었다.

수급자는 같은 기간 112만8천명에서 163만1천명으로 1.45배 증가했다.

실업급여는 재취업 활동을 하는 실직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돕고자 정부가 주는 돈이다.

현재는 퇴직 전 3개월간 평균 임금의 60%를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이 금액이 최저임금보다 낮으면 최저임금의 80%를 준다.

현재 수급자의 73.1%가 '최저임금의 80%'라는 하한액을 적용받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최저임금 인상으로 하루(8시간 기준) 실업급여 하한액은 2013년 3만4천992원에서 올해 6만1천568원으로 10년 만에 75.9% 증가했다.

그 결과 실업급여를 받는 실직자의 상당수가 과거 세후 근로소득보다도 많은 실업급여를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기준 전체 수급자의 27.9%, 하한액 적용자의 38.1%가 받은 실업급여액은 이들의 실직 이전 세후 근로소득보다 많은 것으로 정부는 파악하고 있다.

지난해 최저 월 실업급여는 184만7천40원으로, 최저임금 근로자의 세후 월 근로소득 179만9천800원보다 많다.

실업급여를 받기 위한 요건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한국에서는 실직 전 180일 만 일했으면 실업급여를 받을 자격이 생기는데, 다른 선진국에서는 보통 이의 두 배인 12개월의 근무 기간 요건이 있다고 노동부는 전했다.

실업급여 반복 수급도 문제다. 단기적으로 취업과 실업을 반복하며 5년간 3회 이상 실업급여를 받은 사람은 지난해 기준 10만2천321명에 이른다.

실업급여를 받는 기간에 재취업한 비율은 2022년 기준으로 28.0%에 불과하다.

노동부와 국민의힘은 실직한 근로자의 구직 의욕을 높여 재취업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작년 말 기준 고용보험기금 적립금은 6조3천억원이다.

하지만 공공자금관리기금에서 빌려온 예수금 10조3천억원을 제외한 실적립금은 3조9천억원 적자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