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원조를 받던 국가에서 원조를 하는 국가로 변신한 대한민국 부산에서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 29일 3일간의 공식일정으로 시작됐다.
총회는 이날 오전 9시 부산 벡스코에서 세계 160여개국의 정부·국제기구·시민사회·의회대표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체회의를 가졌다.
민동석 외교통상부 제2차관은 환영사에서 "원조의 효과가 실질적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찾는게 급선무"라면서 "그동안의 원조 관련 국제적 합의인 파리선언과 아크라 행동계획의 성과를 토대로 새로운 개발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청사진과 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첫 전체회의는 지난 2005년 파리 선언과 2008년 가나 아크라 행동계획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원조 효과성'을 넘어 '개발효과성'에 중점을 둔 새로운 합의와 행동계획을 논의했다.
전체회의에 이어 ▲주인의식과 책임성 ▲수원국 시스템 ▲원조분절 ▲원조투명성과 예측성 ▲원조개발성과를 주제로 오전 분과세션이 열렸다.
이어 오후에는 '원조효과성'에서 '개발효과성'으로 방점을 옮겨 찍어 ▲역량배양 지식교환 ▲인권기반 접근 ▲취약과 분쟁 ▲남남협력과 삼각협력 ▲민관협력 등을 토론했다.
참가국들은 기존 세계 개발원조정책을 이끌고 있는 서구 선진국과 새로운 공여국으로 등장한 중국, 브라질, 인도 등의 신흥국들이 새로운 포괄적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남북(선진국-개도국), 남남(개도국-개도국), 삼각(개도룩-개도국-선진국) 협력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전체회의 이후에는 토니 블레어 전 총리와 미국 국제개발협력처(USAID)가 공동주관하는 '아프리카 개발 리더십' 회의가 열린다.
또 우리나라 국회와 국제의회연맹(IPU), 아프리카를 위한 유럽의회연합(AWEPA)이 주재하는 의회포럼과 외교통상부·교육과학기술부가 공동 주최하는 청소년 포럼이 잇따라 열린다.
총회는 이틀째인 30일 오전 9시30분 개막식을 연다.
개막식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 멜레스 제나위 에디오피아 총리, 라니아 알 압둘라 요르단 왕비 등 세계 160여개국의 정상·각료급 정부대표, 앙헬 구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국(OECD) 사무총장과 장핑 아프리카연합(AU) 집행위원장 등 70여개국 국제기구 대표, 의회·시민사회·학계 대표가 참석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