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박대웅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단행한 금융 공기업 인사가 노골적인 '자기사람 챙기기'로 말들이 많다. 공기업 선진화라는 미명 아래 이뤄지는 인사 조치를 두고 '침묵의 암살자'로 불리는 스텔스기에 빗대어 '스텔스 인사'라는 비아냥이 넘쳐나고 있다. 그만큼 소리 소문 없이 신속하게 임명 절차를 끝내버린다는 것이다.
'스텔스 인사'의 대표적인 사례가 예금보험공사의 감사 선임이다. 지난달 6일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당시 선거 외곽조직에서 활동하다 청와대 비서관을 역임한 바 있는 금융 문외한을 예보 감사 자리에 앉혔다.
그는 3개월 전 기업은행 감사에 내정됐다 낙하산 논란으로 중도 하차했던 인물이다. 예금보험공사 감사 선임은 공모와 심의, 임명 제청, 대통령 임명의 과정을 거치지만 이 같은 내용은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다.
또한 한국조폐공사 사장, 기술보증기금 이사장, 정책금융공사 사장 등 핵심 기관장 자리에 'MB의 남자'들이 대거 안착했다. 특히 이들의 정확한 발탁 배경은 알려지지 않은 채 대통령 측근과의 친분설이 나돌고 있다.
소리없이 강한 이 대통령의 공기업 인사는 한국전력이 대표적이다. 지난달 취임한 한전 사장은 대통령과 같은 지역, 대학, 같은 회사 출신이다. 또한 한전 상임이사 7명 중 5명이 대통령과 동향이거나 한나라당 출신이다.
최근 한전 자회사인 한전 KDN 사장에는 이 대통령이 대선 후보시절 선거캠프에 참여했던 인물이 임명됐다. 전임 사장 역시 이 대통령이 후보시절 상임특보를 지낸 인물이었다. 한전과 11개 자회사의 감사 12명은 한나라당, 대통령직인수위, 청와대, 현대 출신이다.
이 대통령의 '자기사람 챙기기'는 고스란히 공기업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졌다. 이 대통령 취임 후 27개 대형 공기업의 금융빚은 74%나 치솟았다. 전문성 없는 정치권 인사들이 대거 공기업의 핵심 요직으로 날아든 탓이다. 전문성과 능력을 무시한 채 '측근인사'를 계속할 경우 그 피해는 모두 국민의 혈세로 메워야 한다.
이 대통령은 자기사람 챙기는 것보다 국정과 민생을 먼저 챙겨야 한다. 그게 지도자의 진정한 모습일 것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